정부가 방역조치 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했다. 전문가 논의에서도 영업시간, 인원 제한 강화 등 추가적인 대책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817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휴일 효과로 확진자 규모는 줄었지만, 전국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82.6%), 1일 이상 병상 대기자 수(1533명) 등 다른 방역지표가 모두 위험수위다. 최근 1주간(5~11일) 상황을 보면,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11.7명으로 전주(8.5명)보다 3.2명 늘었다. 유행 규모를 보여주는 감염재생산지수(Rt)도 1.23으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에 방대본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종합 위험도를 모두 ‘매우 높음’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주 비수도권 위험도는 ‘높음’이었다.
12일 열린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방역의료 분과위원회에선 전반적 방역조치 강화가 요구됐다. 전문가들은 증가세를 꺾기 위한 역학조사가 한계에 봉착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영업시간 제한과 강도 높은 인원 제한, 취약계층에 대한 별도 보호대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날 방대본 정례브리핑에서 “고강도 대책이라는 것을 아직 특징지어 말하긴 어렵지만, 아마도 사회적 거리두기 일부 복원 내지는 강화하는 방향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다만 시기와 내용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또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정리된 다음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방역조치를 강화한다고 해도 직장·학교 등 필수시설 내 집단감염 위험은 사라지지 않는다. 결국은 방역조치를 강화하면서 예방접종률을 끌어올리는 수밖에 없다. 접종률이 낮은 7~12세와 13~15세, 기본접종 완료 후 4~5개월 이상 경과했으나 추가접종(3차 접종)률이 낮은 60대의 최근 1주간 발생률(인구 10만 명당)은 각각 19.0명, 17.1명, 18.2명에 달한다. 발생률이 가장 낮은 20대(7.8명)의 2배를 웃도는 수치다. 접종 확대만큼 중요한 게 접종 속도다. 접종 완료가 지체되면 초기 접종자들의 면역 감소로 돌파감염이 급증하는 현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3차 접종간격을 3개월로 단축해서 12월 중 약 2600만 명이 대상자가 된 상황이고, 1월에는 300만~1200만 명이 추가로 늘어난다”며 “시뮬레이션을 했을 때 3차 접종에 사용되는 화이자·모더나 백신은 충분히 공급 가능하고, 그래서 접종에 적극 참여해주면 접종을 다 맞으실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