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경제 활성화와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 기업협의체 ‘Korea H2 Business Summit’이 탄생했다.
국내 수소 경제를 주도하는 15개 회원사로 구성된 Korea H2 Business Summit은 8일 경기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각 회원사 최고경영자와 기업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창립총회를 열고 공식 출범했다.
이날 창립총회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대표이사 사장, 허세홍 GS그룹 사장, 정기선 현대중공업그룹 대표이사,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이규호 코오롱그룹 부사장, 김상범 이수그룹 회장, 허정석 일진 부회장, 구동휘 E1 대표이사, 최윤범 고려아연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Korea H2 Business Summit은 현대차ㆍSKㆍ포스코 3개 그룹이 주도해 출범을 준비해왔다. 이들은 3월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논의된 대로 수소 경제를 활성화하고 탄소 중립을 실현하려면 기업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데 뜻을 함께하고, 이에 최고경영자 협의체를 설립하기로 했다. 이후 효성까지 참여 의사를 밝혀 4개 그룹 회장이 지난 6월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에서 만나 수소 기업협의체 출범을 공식화하는 데 합의했다.
Korea H2 Business Summit 설립이 닻을 올림에 따라, 앞으로 국내 수소 경제 전환과 국내 기업의 세계 수소 산업 진출은 힘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Korea H2 Business Summit은 △회원사 간 수소 사업 협력 추진 △수소 관련 투자 촉진을 위한 글로벌 투자자 초청 인베스터 데이 개최 △해외 수소 기술 및 파트너 공동 발굴 △수소 관련 정책 제안 및 글로벌 수소 의제 주도 등을 통해 수소 경제 확산과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Korea H2 Business Summit은 초기 회원인 현대차ㆍSKㆍ포스코 3개 그룹이 공동 의장사를 맡고, 현대차가 차례로 돌아가며 회의체를 대표하는 간사를 맡아 수소 관련 사업을 영위하거나 투자를 계획하는 기업들과 함께 뜻을 모았다.
현재까지 현대자동차그룹, SK그룹, 포스코그룹, 롯데그룹, 한화그룹, GS그룹, 현대중공업그룹, 두산그룹, 효성그룹, 코오롱그룹, 이수그룹, 일진 (단일기업) E1, 고려아연, 삼성물산이 정회원으로 가입해 협의체는 총 15개 회원사로 구성됐고, 향후 지속해서 외연이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Korea H2 Business Summit은 매년 9월 전 회원사가 참여하는 총회를 열고 관련 주요 이슈와 현황을 공유하며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회원사들은 정기모임을 갖고 기술, 정책, 글로벌 협력 등 3개의 분과별 중점 협력과제를 선정하고, 집중적인 논의 과정을 거쳐 세부 추진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매년 상반기에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투자금융사 등을 대상으로 정기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해 국내외 투자자들을 초청한 뒤 수소 관련 투자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최근 세계 주요국은 자국의 탄소 중립 달성과 미래 먹거리 발굴 및 글로벌 수소 패권 확보를 위해 국가 수소 전략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고, 기업도 수소 가치에 주목하고 투자를 적극적으로 늘려가고 있다.
수소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현재 세계적으로 900여 개의 수소 관련 프로젝트가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그린 수소 생산 규모가 하루가 다르게 대형화되는 기가팩토리 건설의 붐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지리적인 여건이 불리하고 수소 산업 대부분이 활용분야에 집중돼 있어 생산, 저장, 운송 등 영역은 뒤처져 산업생태계의 균형 있는 발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Korea H2 Business Summit은 공급, 수요, 인프라 영역의 다양한 기업 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가치사슬 전후방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줄여나가는 데 집중한다. 이미 현대자동차, SK, 포스코, 한화, 효성 등 5개 그룹 주도로 2030년까지 수소 생산, 유통ㆍ저장, 활용 등 수소 경제 전 분야에 43조4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결정한 바 있고, Korea H2 Business Summit의 발족을 통해 수소 경제 활성화는 더욱 가시화될 전망이다.
우선 해외수소 생산ㆍ운송 영역으로 진입해 주도적이고 안정적인 수소 공급망 확보에 주력한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물량 확보를 위해 수소 공급원의 다양화, 자립적 수소 공급망 구축을 궁극적인 대응전략으로 수립하고 추진할 예정으로, 지난해 6월 출범한 그린 수소 해외사업단의 해외 청정수소 수입 계획이 더욱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Summit을 통한 차세대 수소 기술의 광범위한 검출, 투자 확대로 수소 액화, 수소 액상화, CCU 등 향후 수소 경제의 핵심기술 조기 확보에 나선다. 이를 위해 최적의 해외 파트너와 연계해 투자와 협력 대상을 물색할 수 있는 장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수급 및 투자 공유를 통한 산업 경쟁력 집중과 장단기 수요 창출을 위한 대정부 정책 제안도 도출한다. 탈 탄소의 핵심 수단으로서 수소에너지 정책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제기하고, 궁극적으로는 개별 단위의 기업 경쟁력은 물론 기업, 정책, 금융 부분이 하나로 움직여 구성하는 산업생태계의 완결성과 경쟁력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