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활동이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에도 실제 영향을 준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민 300명을 대상으로 ‘ESG경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기업의 ESG 활동이 제품구매에 영향을 주는지를 묻는 말에 전체의 63%가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고 30일 밝혔다.
‘ESG에 부정적인 기업의 제품을 의도적으로 구매하지 않은 경험이 있는지’를 묻는 말에도 70.3%가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친환경ㆍ사회공헌ㆍ근로자 우대 등 ESG 우수기업 제품의 경우 경쟁사 동일제품보다 추가 가격을 더 낼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88.3%에 달했다.
이재혁 고려대 교수는 “ESG경영은 투자 유치, 매출 상승 등 긍정적 효과도 발생시킬 수 있지만 문제 발생을 방지하는 리스크 관리 측면의 효과도 크다”며 “SNS, 동영상 플랫폼 등의 발달로 기업의 ESG 관련 이슈가 쉽게 대중들에게 공유될 수 있는 만큼 ESG 경영에 더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ESG 분야 중 기업이 대응을 못 하고 있는 분야로는 ‘지배구조(G)’(41.3%)를 가장 많이 지목했다. ‘환경(E)’은 35.0%, ‘사회(S)’는 23.7%였다.
분야별로 기업들이 관심을 둬야 할 이슈에 대해서는 우선 환경분야(E)는 ‘플라스틱 과다사용에 따른 생태계 오염’(36.7%)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기후변화 가속화’(21.0%), ‘환경호르몬’(19.7%), ‘미세먼지’(15.0%), ‘지하수/수돗물 오염’(3.3%), ‘각종 동식물 멸종’(2.3%), ‘토지 내 중금속’(1.7%) 등 순이다.
사회분야(S) 이슈로는 ‘일자리 부족’(31.7%)을 선택한 국민이 가장 많았다. ‘근로자 인권 및 안전’(31.0%), ‘소득 양극화’(14.0%), ‘비정규직 문제’(9.7%), ‘협력사 관계‘(7.0%), ’전근대적 기업문화‘(6.3%) 등도 있었다.
지배구조(G) 이슈의 경우 ‘부적절한 경영권 승계’(36.3%)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회사 자산 사적유용 등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32.7%), ‘일감 몰아주기’(12.0%), ‘이사회 및 감사기구 역할 강화’(10.3%), ‘소액주주 권리 강화’(8.3%)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ESG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국민들도 기업의 ESG 활동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며 “특히 우리 국민의 인식변화에 따라 이제는 기업들은 ESG에 기반을 둔 경영 활동을 펼쳐나가는 것이 필수조건이 됐다”고 조언했다.
기업의 역할에 대한 질문에는 ‘주주 이익과 사회구성원 전체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응답이 51.0%에 달했다.
반면 전통적인 기업의 역할이었던 ‘주주의 이익 극대화’는 9.0%에 그쳤고 ‘주주가 아닌 사회구성원의 이익’ 응답이 39.7%를 차지했다.
기업이 본연의 역할을 다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소비자가 신뢰할만한 제품 생산’(32.3%)을 꼽은 국민이 가장 많았다.
그 밖에 ‘일자리 창출’(23.3%), ‘사회공헌 통한 사회적 책임 강화’17.0%), ‘국가경제 발전 기여’(14.7%), ‘근로자 복지 향상’(7.0%), ‘협력업체와의 상생’(4.0%), ‘지역사회 발전 기여’(1.7%) 등도 있었다.
윤철민 대한상의 ESG경영팀장은 “전 세계적으로 ESG경영이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 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기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 “기업들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 분야에서 성과를 내는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면 지속성장은 물론 기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