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위축된 대면소비가 회복될 때까지 완화적 통화정책(저금리)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1일 발표한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조덕상 전망총괄, 남창우 연구위원)’ 보고서에서 2011~2019년 평균 68.5%였던 대면소비 비중이 지난해 65.5%로 3.0%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반면, 비대면소비 비중은 31.5%에서 34.5%로 3.0%P 올랐다. 코로나19 감염 우려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반적으로 대면소비는 위축되고, 비대면소비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런 소비패턴 변화는 상대적으로 소비여력이 큰 5분위(소득 상위 20%)에서 두드러졌다. 거리두기 등 사회활동 제약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소비구성과 실제 소비구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가구에서 준내구재 및 대면서비스 지출은 12.2% 줄었지만, 내구재 중 자동차 등 운송기구는 17.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운송기구 지출 증가에서 5분위의 기여도는 27.4%P로, 소비구성 변화율의 대부분을 설명했다.
반면, 1~4분위의 준내구재 및 대면서비스 지출 감소는 내구재·비내구재 지출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3분위(상위 40~60%)의 경우, 자동차 등 운송기구 기여도는 -7.4%P, 운송기구를 포함한 내구재 기여도는 -3.4%였다. 남창우 연구위원은 “중간소득계층이 코로나19로 인한 실질적인 충격과 불확실성에 가장 크게 노출되면서 예비적 저축을 확대하고 소비지출을 줄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KDI는 코로나19 집단면역이 가시화하기 전까지 가계소비 부진이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 완화적인 거시경제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더불어 재난지원금 형태의 추가적인 재정지출 필요성도 강조했다. 조덕상 전망총괄은 “중간소득계층에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 충격이 크게 나타난 만큼, 경제 주체별 소득수준과 소득 충격의 규모도 함께 고려해 정부 지원의 대상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며 “또한 효과적인 방역이 가계소비 회복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방역정책의 수용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방역조치로 인해 사회적 비용을 크게 부담하는 계층에 대한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