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각각 ESG 평가] ESG 경영 속도 내는 산업계, 평가 기준 ‘표준화’ 절실

입력 2021-02-14 13:51 수정 2021-02-15 08: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난립하는 ESG 평가… 기업 또는 투자자 모두 위해 표준화 나서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ESG 경영에 속도를 내는 오너 경영인 중 대표적인 인물이다. SK그룹은 ESG 화폐화 측정의 글로벌 표준 개발을 위해 2019년 설립된 글로벌 기업 연합체 'VBA'의 부회장사도 맡고 있다.  (사진제공=SK그룹)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ESG 경영에 속도를 내는 오너 경영인 중 대표적인 인물이다. SK그룹은 ESG 화폐화 측정의 글로벌 표준 개발을 위해 2019년 설립된 글로벌 기업 연합체 'VBA'의 부회장사도 맡고 있다. (사진제공=SK그룹)

최근 ESG 평가 기준 표준화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건 글로벌 연기금과 자산운용사들이 ESG 평가를 근거로 투자처를 결정하는 경우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여전히 글로벌 표준이 없어 도입 초기 혼란기를 겪고 있다는 게 문제다.

소비자들 역시 기업들의 ESG 성과를 유심히 살펴보는 경우가 늘고 있다.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이 추정한 글로벌 ESG 펀드의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45조 달러(약 5경 원)에 이른다.

국내에서도 ESG를 포함하는 SRI(사회책임투자) 펀드 설정액이 급증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ESG를 포함하는 SRI(사회책임투자) 펀드 설정액은 최근 1년 새 무려 6배가 가까이 급증했다. SRI펀드는 환경, 사회 등을 고려한 펀드로, 국내 ESG 펀드를 말할 때 유사한 범주로 여겨진다. 환경과 사회를 생각하는 기업을 골라내겠다는 의미다.

▲ESG를 포함하는 SRI(사회책임투자) 펀드 설정액이 급증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ESG를 포함하는 SRI(사회책임투자) 펀드 설정액은 1년전 2569억 원에서 지난 8일 기준 1조5238억 원으로 6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운용 펀드도 같은 기간 29개에서 51개로 대폭 늘었다. SRI펀드는 환경, 사회 등을 고려한 펀드로, 국내 ESG 펀드를 말할 때 유사한 범주로 여겨진다.
▲ESG를 포함하는 SRI(사회책임투자) 펀드 설정액이 급증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ESG를 포함하는 SRI(사회책임투자) 펀드 설정액은 1년전 2569억 원에서 지난 8일 기준 1조5238억 원으로 6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운용 펀드도 같은 기간 29개에서 51개로 대폭 늘었다. SRI펀드는 환경, 사회 등을 고려한 펀드로, 국내 ESG 펀드를 말할 때 유사한 범주로 여겨진다.

글로벌 ESG 평가 기준만 300개 넘어

문제는 ESG 측정 기관이 난립하고 있으며, 기준 역시 모호하다는 데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70개국에 걸쳐 360개 정도의 ESG 평가 기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두철 연세대 경영대 교수는 “미국만 해도 6~7개의 주요 평가 기관이 있는데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며 “특히 한국 기업은 해외 기관 평가와 국내 기관 평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ESG에는 여러 변수가 있고, 같은 변수라 해도 어떤 기관에는 들어가고 빠지기도 한다”며 “또 E, S, G를 합쳐서 등급이 나오는데, 각 가중치가 기관마다 다르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제조업 비중이 높은 한국 기업들이 불리한 평가를 받기도 한다. 최근 기업들이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펼치면서 배출량이 감소세지만, ESG 평가기관에는 절대적인 탄소배출량이 더 중요하다.

사회공헌 활동도 마찬가지다. 현대차ㆍ기아는 영업이익 대비 기부 비율이 토요타나 혼다 등 일본 차 업체보다 높다. 그러나 기부가 톰슨로이터 ESG 평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현저히 낮다. 모건스탠리는 평가할 때 기부 이력을 고려하지 않는다.

모호한 ESG 기준… 투자자 정보 격차도 커

투자자 측면에서 보면 정보의 비대칭성도 큰 문제다.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는 지난해 10월 열린 ‘VBA 2020 Korea’에서 “투자자는 같은 프레임으로 각 기업을 비교해서 투자를 결정한다“며 “ESG 표준화와 제대로 된 측정은 투자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강동수 SK수펙스추구협의회 부사장은 “특히 개인 투자자 같은 경우는 기관투자자보다 볼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명확한 기준이 없는 ESG 정보는 결국 비대칭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VBA(Value Balancing Alliance)는 ESG 화폐화 측정의 글로벌 표준 개발을 위해 지난해 설립된 다국적 기업 연합체다. SK그룹이 부회장사를 맡고 있다.

중장기 기업 경영 큰 틀, ESG에서 찾아야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ESG 경영을 최우선 순위로 삼는 게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평가 기준 표준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고, 기본에 충실하다 보면 표준화 이후 결국 좋은 회사로 인정받는다는 얘기다.

이경묵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ESG 따로, 사업 따로가 아니라 사업 이념과 포트폴리오에 녹아드는 ESG 경영을 추구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한 차원보다는 기업 가치에 ESG를 내재화해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식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수근 서울대 경영대 명예교수도 “ESG 기준이 수백 개에 이르기 때문에 혼란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기업은 자체적으로 ESG 관련 경영철학과 비전, 전략 등을 꾸준히 실행해나가면 된다”고 말했다.

반도체·철강 등 주요 제조업, ESG 경영 천명

▲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 삼성전자는 최근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하는 등 ESG 경영에 한층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 삼성전자는 최근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하는 등 ESG 경영에 한층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실제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현대제철 등 제조 기업들은 환경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ESG 노력을 강화하는 추세다.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ESG 경영 강화를 위해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전략을 논의하는 전사 차원 협의기구인 지속가능경영협의회를 CFO 주관으로 격상했다. 또 사업부 단위에도 지속가능경영사무국을 설립해 제품 기획에서부터 AS 등 전 라이프 사이클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제품과 서비스에 구현하도록 했다.

현대제철은 ESG 중장기 과제에 3대 지향점, 4대 추진전략, 16개 분야를 도출했다. 또 환경, 사회, 경제 부문별로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다양한 외부기관 ESG 정보 요청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하려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개별 기업으로선 어떤 부분을 우선순위로 개선해야 하는지 어려운 게 사실”이라면서도 “ESG 경영위원회를 중심으로 투자자 관점에서 주요 ESG 안건을 선정하고 이에 따른 자사 개선방안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해 말 베이징 포럼에서 “무엇보다 기업들이 친환경 사업, 사회적 가치, 신뢰받는 지배구조 등을 추구하는 ESG 경영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 나가야 한다”며 “ESG 가치 측정 체계가 고도화할수록 기업들의 경영전략 및 행동 변화도 가속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5,075,000
    • +4.13%
    • 이더리움
    • 4,443,000
    • +0.14%
    • 비트코인 캐시
    • 609,500
    • +1.16%
    • 리플
    • 815
    • -4%
    • 솔라나
    • 303,800
    • +6.41%
    • 에이다
    • 845
    • -1.74%
    • 이오스
    • 779
    • -5.8%
    • 트론
    • 232
    • +0.87%
    • 스텔라루멘
    • 153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800
    • -2.82%
    • 체인링크
    • 19,650
    • -3.34%
    • 샌드박스
    • 408
    • +0.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