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준 LG그룹 고문, 5월 ‘LG 신설지주’ 출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임기 끝 두산 복귀하나
최재원 SK 수석 부회장도 하반기 경영 복귀 유력
경영 일선에서 한동안 물러나 있던 총수들이 올해 경영 무대로 속속 복귀할 전망이다.
법적 제한 해제부터 계열 분리에 따른 독립까지 다시 경영 전면에 나서는 이유는 다르지만, 오너들은 불확실성의 시대에 미래 생존 해법을 찾기 위해 발 벗고 나설 전망이다.
26일 재계에 따르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7년여만인 올해 그룹 경영 전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김 회장은 2014년 2월 배임 등의 혐의로 선고받은 집행유예(5년) 기간이 2018년 2월 만료됐으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한된 2년간 기업체 취업 기간이 2월 18일 마감된다.
김 회장의 복귀 계열사는 ㈜한화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남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이사와 차남 김동원 한화생명 전무, 삼남 김동선 한화에너지 상무보 등 자녀들이 경영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만큼 이를 총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지주사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다만, 한화그룹은 김 회장의 경영 복귀에 대해선 확정된 부분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룹 관계자는 “(김 회장의 복귀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나오는 얘기는 없다”고 말했다.
구본준 LG그룹 고문은 2018년 6월부터 LG의 경영에선 손을 뗀 이후 3년 만인 올해 독자 경영에 나선다. 구 고문은 LG그룹의 장자 승계 전통에 따라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4세 경영을 시작한 뒤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계열 분리를 통해 올해 5월 ‘LG 신설 지주’(가칭)를 출범하며 경영에 복귀할 예정이다.
LG 신설 지주는 LG상사, 실리콘웍스, LG하우시스, LG MMA 등 4개 회사를 자회사로, LG상사 산하의 판토스를 손자회사로 두는 구조로 되어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아온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의 임기가 3월 종료되면서 향후 거취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박 회장이 앞으로 무엇을 할지 고민해야겠다고 하며 아직 거취를 정하진 않은 것 같다”고 한 점으로 미뤄볼 때 아직 구체적인 그림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박 회장이 두산그룹으로 돌아간다면 현재 맡은 두산인프라코어 대신 다른 계열사를 맡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인프라코어가 현대중공업그룹으로 매각되기 때문이다. 박 회장은 2007년 두산밥캣 인수에 공을 들인 바 있다. 두산밥캣은 자구안 실행 이후 그룹의 ‘캐시카우’이자 주요 동력으로 꼽힌다.
두산그룹 회장직을 조카인 박정원 회장에 넘겼다는 점에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다른 역할을 맡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공적 역할을 이어간다면 중앙대학교 학교법인에서 이사 역할에 전념할 수도 있다.
박 회장은 두산그룹 밖에 머물더라도 그룹 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은 신성장 사업 추진을 위한 중요한 시기에 있다. 그는 7년 넘게 상의 회장을 맡아오며 정ㆍ재계에서 활발한 교류를 이뤄왔다. 최근에는 페이스북을 통해 소통하는 등 대중과도 친밀한 기업인으로 알려졌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개인 거취에 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라고 말했다.
총수 일가 중에서도 경영에 복귀하는 인물이 있다. 최태원 SK 그룹 회장의 동생 최재원 SK 수석부회장이다. 최 수석부회장은 올해 10월을 기점으로 취업제한 풀려 등기이사로 복귀가 가능해지면서 경영 활동의 보폭이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 수석 부회장은 이전에 활동하던 SK E&S를 복귀 무대로 택할 가능성이 대두된다. 또, 그동안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한 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왔다는 점에서 이 사업과 관련한 그룹사도 후보로 꼽히고 있다.
총수들의 복귀로 중요 안건에 대한 빠른 의사결정이 가능해져 기업의 경영 효율성 증대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경영 공백이 해소되며 기업의 불확실성은 줄어들 것"이라며 "의사 결정권자의 자리가 빈 이전보다는 중대한 투자나 사업 조정에 대한 의사결정이 빠르게 이뤄지니 급변하는 산업의 변화에 대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관계자는 "총수 부재가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 있는 만큼 복귀 이후 총수 리스크가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자정적인 노력도 동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