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영 금융과행복네트워크(금행넷) 의장은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주식은 일상 속 살아있는 경제교육이다. 아이들이 기업의 생산 활동에 관심을 두면서 시장 이해를 넓힐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이제는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반영한 금융 교육으로 뒷받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도박과 투기 그리고 투자는 종이 한 장 차이인 것 같다. 하지만 이제는 주식의 순기능을 주목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조성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주식은 100세 시대의 장기적 자산 관리로 유효할 뿐만 아니라 부동산 불패에 꽂혀있는 한국 경제에도 의미 있는 변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리틀 동학 개미들 주변에 한방을 유혹하는 정보들도 많은 게 현실이다. 금융 교육은 국·영·수에 밀려 뒷전이다. 접근성 높은 정보 수집 수단은 유튜브, 블로그 등이 전부다. 그가 ‘시대에 맞는 맞춤형 금융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배경이다.
오랜 연구와 교육 현장을 경험한 그가 말하는 금융교육의 핵심은 ‘금융 습관과 태도’다. 아무리 금융 지식이 뛰어나도 올바른 금융습관과 태도가 뒷받침해주지 않으면 ‘모래 위에 성을 쌓는 일’과 다를 게 없다는 지적이다. 동시에 어릴 때 받는 금융 교육일수록 빛을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정 의장은 ‘생애주기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으로 아이들을 만나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청소년 시기엔 올바른 금융 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을, 2030 청년들에겐 자산 배분 등 일상생활 내용이 필요하다. 이 밖에 노년층을 위해선 금융사기예방과 디지털 금융 소외를 예방할 수 있는 교육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생애주기별 특성을 반영한 금융 교육을 마련해야 세대별 교육 사각지대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에선 금융교육 필요성이 재주목받고 있다. 잇따른 사모펀드 사태는 금융회사들의 금융윤리 부재의 측면이 크지만, 이면에는 제대로 된 금융교육을 받지 못한 금융 소비자들에게 피해가 고스란히 돌아왔다는 반성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선진국들이 금융 교육을 강화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정운영 의장은 2006년부터 청소년 금융교육을 시작으로 ‘금융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상품 공급자가 정보 우위를 차지하는 시장에선 금융 소비자는 약자에 내몰릴 수 있어서다. 하지만 한국 교실에서 마주치는 금융 교육 현장은 현실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제 교과서의 금융부문과 해외 경제 교과서의 개인 금융영역을 비교·분석하는 과정에서 안타까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미국 교과서에선 학생들에게 정말 필요한 질문을 던진다. ‘주식투자가 너에게 주는 이익은 무엇일까?’, ‘주식투자를 하면 다 돈을 많이 벌 수 있다고 생각하니?’, ‘무엇을 조심해야 할까?’, ‘너에게 맞는 주식투자는 어떤 방법일까?’ 등이다. 한국 정규 교육 과정에선 찾기 어려운 대목이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 라임ㆍ옵티머스 사모펀드 사태만 봐도 그렇다. 소비자들이 ‘평균 시장 이자율보다 높은 이자율을 주는데도 손해가 없다’라는 말을 믿으면서 피해를 본 소비자가 속출했다. 사실 이익이 많으면 손해 볼 가능성도 큰 법이다. 최근 잇따라 일어난 파생결합펀드(DLF)나 사모펀드 사태는 여전히 금융과 투자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현실을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미래세대 금융 교육에도 ‘양적’이 아닌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정부 기관과 금융회사들 그리고 민간 비영리 단체들이 금융 교육 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는 반복되는 내용으로 양을 늘리기보다 청소년ㆍ청년 등 생애주기별로 금융소비자들이 필요한 금융 교육이 ‘무엇’인지, 교육의 사각지대를 살펴봐야 한다고 짚었다.
정 의장은 “사실 금융교육 내용은 그만 만들어도 될 만큼 많다고 생각한다. 이제 중요한 것은 ‘양’ 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교육 대상 특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무의미한 내용이 된다”며 “이제는 시대와 대상에게 맞는 교육으로 실효성을 높여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