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개발에서 ‘안전성’은 첫 번째로 고려되어야 한다”
8일 온라인으로 열린 ‘2020 글로벌 바이오 콘퍼러스(GBC)’에서 ‘코로나19 백신 개발 동향 및 안전성ㆍ유효성 확보를 위한 고려사항’이란 주제로 강연에 나선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통상 10~15년 걸리는 임상 시험을 10개월 내로 줄여야 하는 특수한 상황”이라며 “임상 3상까지 끝내고 허가를 받았다고 해도 모두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항체의존면역증강(ADE)을 꼽았다. 이는 백신을 맞은 후 생긴 항체가 오히려 체내에서 바이러스 증식을 돕는 현상이다. 그는 “백신을 접종하고 항체가 생겼는데 외려 증상이 더 악화하는 ADE가 나타날 수 있다. 항체가 바이러스를 끌어들여 사이토카인 등으로 폐렴 및 증상이 악화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라며 “이런 부작용은 임상 3상에서 3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험한다고 해도 밝혀내기 쉽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그런 만큼 백신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점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백신 접종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한다. 투명하게 점검하고 신뢰도를 높이는 게 가장 중요하다”라며 “누가 가장 먼저 백신을 개발할지 아무도 모르지만, 백신 개발을 위한 마라톤에서 안전하게 완주할 수 있도록 끝까지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이 중요한 만큼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국제 정세를 경계했다. 그는 “백신은 과학적이고 냉정한 근거를 기반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러시아는 임상 3상 없이 코로나19 백신을 허가했는데 아무도 안전성을 장담할 수 없다. 미국도 심상치 않다. 11월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백신의 긴급사용 허가를 내라고 압력을 주고, 다국적 제약사는 안전성 확보 없이 정부에 허가를 요청하지 않겠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날 ‘코로나19 백신 개발 현황’과 관련한 발표에 나선 제롬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 역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을 강조했다. 김 사무총장은 “임상에 참여한 사람들이 백신을 접종한 후 최소 2~3년간 안전성을 추적하는 게 중요하다. 접종 후 이상 사례 보고를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계속 이상 사례를 추적하며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