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도와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스마트폰 생산설비를 현지에 유치하는 정책을 내놓은 가운데, 삼성전자도 남아시아에 생산설비 건립 및 이전 등을 고려하고 있다는 현지언론 보도가 나오고 있다.
남아시아는 인구가 20억 명을 넘고, 스마트폰 사용자가 급속히 늘고 있는 시장이라는 점에서 여러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신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지역에선 저가물량을 앞세운 중국 업체들이 점유율 우위를 차지해왔는데, 삼성전자가 현지 생산을 늘리면 점유율 경쟁 측면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5일 파키스탄 트리뷴 등 외신에 따르면 하마드 아자르(Hammad Azhar) 파키스탄 산업부 장관이 21일(현지 시간) 삼성 파키스탄 현지 법인 대표 및 마케팅 이사를 만나 현지 스마트폰 조립공장 설립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아자르 장관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들(삼성)은 스마트폰 조립 공정을 파키스탄에 건립하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만남은 파키스탄 정부가 6월 핸드폰 기기 제조산업 육성정책(Mobile Device Manufacturing PolicyㆍMDMP)을 발표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해당 정책은 스마트폰 완제품 수입보다 현지 조립 생산이 유리하도록 과세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골자다. 현지 조립 생산 제품에 대해선 각종 세금 감면 조치를 2023년까지 제공하는 반면, 수입된 완제품에 대해선 관세를 원래대로 물린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해당 정책하에서 현지 조립 생산 시 기기당 95~150달러의 가격 인하 효과가 기대된다.
파키스탄 정부는 향후 2~3년 사이 현지 생산 제품비율을 전체 핸드폰 시장의 8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도 제시한 상태다.
앞서 이달 중순엔 삼성전자가 인도에서 스마트폰 생산량을 대폭 늘릴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코노믹타임스나우 등 현지 언론매체에 따르면 삼성전자 인도법인은 향후 5년 동안 400억 달러(47조4300억 원) 규모로 현지 생산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인도 정부에 제출했다. 삼성전자는 인도 노이다 공장에서 연간 최대 1억 대 규모 휴대폰을 생산하며 세계시장 공략의 차세대 거점으로 육성해왔다.
인도는 파키스탄보다 한발 앞선 시기인 4월 현지 생산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정책(PLI)을 발표했다. 애플 협력사인 대만 페가트론, 폭스콘 등을 비롯한 주요 업체들이 해당 정책에 동참한 데 이어 삼성전자도 대열에 합류했다는 분석이다.
남아시아 국가들이 연달아 핸드폰 현지 생산을 장려하고 나선 것은 미ㆍ중 갈등 소나기를 피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대체 생산 및 수출기지로서 전략적 입지를 대폭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인도는 중국에 이어 가장 큰 시장이고, 파키스탄 역시 핸드폰 이용자가 1억6000만 명에 달해 세계 8위 수준이다.
이 지역에서 그간 저가물량을 앞세운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이 높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지 생산설비 확충 시 점유율 경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중국업체들과 이 지역에서 꾸준히 점유율 1~2위 싸움을 해왔다. 지난해엔 인도에선 샤오미에, 파키스탄에선 오포에 밀려 2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