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바라는 많은 국민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남북관계 악화의 모든 책임을 지고 물러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 사퇴 의사를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김 장관은 지난해 4월 취임 후 1년 2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상황 수습이 필요한 상황에서 장관 사퇴가 적절치 않다는 지적에는 “지금 상황에서는 분위기 쇄신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도 저에게 주어진 책무가 아닐까 한다”며 사퇴 의사를 분명히 했다.
사임을 결심한 시점에 대해서는 “남북관계 악화에 대해 현재의 상황을 예상할 수 있었던 시점이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부분들과 관련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6ㆍ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이 남북관계 악화 속에 치러지게 되면서 사퇴를 구체적으로 고민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 장관은 “6ㆍ15 기념사를 통해서도 나름대로 현재 상황을 준비하면서 정리한 게 있는데 현재 상황에 대한 제 입장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5일 김 장관은 “남북관계가 앞으로 넘어야 할 고비가 적지 않을 것”이라며 “6ㆍ15 정신은 사대가 아니라 자주, 대결이 아니라 평화, 분단이 아니라 통일”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김 장관의 사의 표명은 지난 4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담화로 남북관계가 급속도로 얼어붙기 시작한 지 13일 만에 이뤄졌다. 북한은 최근 남측 일부 탈북단체들의 대북전단을 문제 삼으며 대남 압박 수위를 높여 왔다. 지난 16일에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으며, 이날은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복구와 서남해상 전선 등에서 군사훈련을 재개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하는 등 사실상 9ㆍ19 군사합의 파기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