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들의 생존을 향한 몸부림이 눈물겹다. 소비 패턴이 온라인으로 급속히 옮아가는 가운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가 발목을 잡은 데다 재난지원금 사용처까지 제외되며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이에 대형마트들은 폐점에 이어 업계 최초로 무급휴직과 급여 삭감 등 자구책을 내놓고 있다.
홈플러스는 17일 서울 등촌동 본사 사옥에서 열린 임원회의에서 부문장 이상 임원들이 3개월 간 급여의 20%를 자진 반납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창립 이래 최초다. 통상 오너 기업에서의 임원 급여 반납 사례는 종종 진행되곤 하지만, 전문경영인이 직접 운영하는 기업에서의 위기극복을 위한 임원들의 급여 자진 반납 사례는 흔치 않은 일로 꼽힌다.
실제 홈플러스는 지속되는 규제와 유통경기 불황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인한 경영목표 달성 실패로 2017 회계년도 이후 사장 이하 모든 임원들의 급여를 매년 동결해 성과급조차 지급하지 않았다. 이번 임원 급여 반납 역시 이 같은 어려운 상황에서 임일순 사장과 홈플러스 임원들이 함께 내린 ‘생존을 위한 결단’으로 해석된다.
홈플러스는 2019 회계연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4.69%, 38.39% 감소한 7조3002억 원, 1602억 원을 기록한 바 있다. 특히 운용리스 비용이 영업외비용(이자비용)으로 적용된 ‘신 리스 회계기준(IFRS16 Leases)’을 미적용할 경우 영업이익은 100억 원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추산되고, 당기손실은 5322억 원으로 창사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이에 따라 홈플러스는 최근 매각 주관사로 딜로이트안진을 선정하고 안산점과 대전 둔산점, 대구점 매각을 추진해 유동성 확보에 나섰다. 임일순 홈플러스 사장은 “오프라인 유통 시장의 침체기 속에 임직원과 그 가족들이 받고 있는 고통을 함께 분담하자는 차원에서 급여 자진 반납을 결정했다”며 “큰 위기 뒤에는 반드시 기회가 온다는 믿음을 갖고 위기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창사 이래 첫 무급 휴직에 돌입했다. 롯데는 지난 8일부터 근속기간과 상관없이 무급휴직자 신청을 받고 있다. 희망하는 직원들은 20일과 30일 휴직 중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기간은 7월부터 12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롯데그룹 유통 계열사 가운데 무급휴직은 면세점에 이어 롯데마트가 뒤를 잇게 됐다. 이번 무급 휴직은 오프라인 불황과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영향이 크다. 여기에 5월 중순부터는 정부의 재난 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되며 소비자들은 식자재마트와 편의점 등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실제 올해 1분기 롯데마트 기존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5% 줄었고, 지난달에도 전체 매출은 8% 가량 하락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4월부터 이달까지 급여 중 50%를 반납했고, 롯데쇼핑 임원들도 같은기간 급여의 20% 가량을 반납하기로 했다.
수익성 악화에 따라 점포 구조조정에도 과감하게 메스를 대고 있다. 이달 말 빅마켓 킨텍스점과 롯데마트 천안점, 의정부점 등 3곳의 매장을 폐점하기로 한 데 이어 7월 말에는 양주점과 천안아산점, 빅마켓 신영통점의 영업이 종료된다. 연내 폐점 계획인 점포수는 총 13개에 달한다. 한꺼번에 점포 6곳이 폐점하면서 업계에서는 최대 50%에 달하는 인력이 실업 위기에 처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