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114에 따르면 1월 셋째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09% 올랐다. 집값 상승세는 지난해 6월부터 반년째 이어오고 있지만 오름폭은 줄고 있다. 12ㆍ16 대책 발표 직후만 해도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0.26%에 달했다.
부동산 114 측은 청와대가 집값 상승을 억제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관망 심리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일 신년사에서 "부동산 시장의 안정, 실수요자 보호, 투기 억제에 대한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부동산 투기와의 전쟁에서 결코 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조 정책실장, 강기정 정무수석 등 청와대 참모진도 대출 규제 확대, 주택거래 허가제 도입까지 거론하며 부동산 투자 심리를 누르고 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전주에 이어 또다시 0.02% 떨어졌다. 재건축 기대감이 높았던 강남구와 송파구의 노후 아파트 매매가격은 각각 0.04%, 0.08% 떨어졌다. 재건축 아파트 시장은 일반 아파트 시장보다 투자 수요가 많아 정부 규제에 더 민감하다.
반면 구로구(0.25%)와 강동구(0.18%), 노원구(0.18%) 등에선 서울 평균보다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올랐다. 이들 지역에선 시가 9억 원이 넘는 고가 아파트가 적다. 12ㆍ16대책에서 한 발 비켜나 있어 가격 상승 여지가 있다는 의미다.
부동산 114 관계자는 "12ㆍ16 부동산 대책에 이어 세제 강화 등 고강도 추가 대책이 예고되고 있어 전반적인 거래 부진에 따른 상승세 둔화가 예상되며 정부의 고강도 규제 정책이 가수요를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도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수도권 신도시와 나머지 경기ㆍ인천지역 아파트 가격은 전주보다 각각 0.03% 올랐다. 신도시 가운데선 판교(0.10%)와 일산(0.04%), 산본(0.04%)이 많이 올랐다.
수도권 비(非)신도시에선 수원(0.11%)과 안양(0.09%), 과천(0.07%) 등 경기 남부권 도시들이 가격 상승세를 주도했다. 부동산 114 측에선 "대출 규제 강화로 서울 외곽지역이나 수도권 비규제지역, 저평가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국지적인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전세시장은 여전히 불안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0%로 매매가격 상승률을 웃돌았다. 매물 부족 현상이 장기화한 데다 새 학기 이사 수요까지 늘고 있어서다.
금천구(0.30%)와 송파구(0.21%), 양천구(0.19%), 강남구(0.18%) 순으로 전셋값이 비쌌다. 금천구에선 새 아파트 수요가, 송파ㆍ양천ㆍ강남구에선 명문고ㆍ학원가 수요가 전셋값을 끌어올렸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지역의 전셋값 상승률은 각각 0.01%, 0.02%였다. 신도시 가운데선 일산(0.06%)과 평촌(0.03%), 경기ㆍ인천지역에선 수원(0.04%)과 고양(0.03%)에서 전셋값이 많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