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석탄재 수입으로 뭇매를 맞고 있는 시멘트 업계가 “국내산 석탄재를 사용하고 싶어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와 화력발전소 측에 호소하고 있다.
시멘트 업계가 비용 증가라는 부담을 안고 일본산 석탄재를 국내산으로 대체하려 하지만 정작 화력발전소에서 비용 부담을 이유로 석탄재를 공급하지 않고 있어서다. 현재 화력발전소는 석탄재를 매립하는 것보다 시멘트 업계에 운송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고 있다며 공급량 증대에 미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6일 시멘트 업계와 환경부 등에 따르면 시멘트 업계는 최근 일본산 석탄재 사용량을 70% 감축하고, 이를 국내산 석탄재로 대체한다는 ‘일본산 석탄재 대체 방안’을 환경부 등에 제시했다. 문제는 이 같은 대책이 현재의 국내 여건상 쉽지 않다는 점이다.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석탄재를 시멘트공장에 공급할 운송비가 비싸다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시멘트 업계는 석탄재 대체 방안을 통해 지난해 업계가 사용한 일본산 석탄재 129만 톤 가량을 오는 2024년까지 39만 톤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하지만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석탄재를 시멘트사에 공급하는 데 드는 운송비를 누가 부담하느냐를 두고 발전소, 환경부, 시멘트 업체 간 이견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석탄재 매립비용이 1톤당 1만 원 수준으로, 1톤당 2만5000원에 달하는 운송비용보다 훨씬 저렴하다. 이 때문에 국내 발전사들은 비용 절감을 이유로 시멘트사에 공급하기보다 매립을 선호하고 있다.
여기에 발전량이 증가해 석탄재가 많이 발생하는 여름과 겨울은 건설 산업이 비수기라 시멘트 업계에 제 때 공급하기가 어려운 점도 문제다. 결국 시멘트 업계가 필요할 때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 석탄재를 보관하는 시설을 지어야 하는데, 이것을 두고도 발전소와 시멘트 업계의 의견이 갈린다. 시멘트 업계는 일본에서 들여오는 석탄재를 국산으로 대체하는 만큼 수익이 대폭 줄어, 결국 석탄재 보관비와 보관시설 증축비용을 정부와 발전소 측이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발전소 측은 비용 부담을 이유로 비용 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석탄재 매립 및 수송을 두고서도 발전소와 시멘트 업체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시멘트 업계는 국내 석탄재 매립비용이 수송비보다 저렴해 발전소가 석탄재 공급을 꺼려하는 만큼 환경부나 정부 차원에서 매립비용을 선진국처럼 올리거나 수송비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매립비를 올리는 방안은 현재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조정하면 크게 무리는 아니다. 실제 일본이나 유럽은 석탄재 매립비용이 1톤당 8만~20만 원 수준으로 책정돼 있어 발전소에서 나오는 석탄재를 해외에 수출하거나 레미콘·시멘트사에 판매하고 있다. 정부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석탄재 매립비용만 높여도 발전소 측에서 시멘트사에 석탄재를 공급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 외에 수송비 부담을 줄이는 방법도 있는데, 현재 2만5000원 정도인 1톤당 수송비를 정부 지원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이면 이 역시 발전소가 석탄재를 국내 시멘트 업계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일본산 석탄재 감축안을 정부나 발전사가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라며 “환경부 등 정부가 발전소, 시멘트 업계 등에 손해를 감수하라는 일방적인 통보가 아닌 함께 국익을 위해 십시일반 뜻을 모아 협력하자는 ‘상호윈윈’ 전략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