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에서 불거진 중국 자동차 시장의 침체 여파가 유럽까지 확산했다. 독일 주요 자동차 업체의 투자 축소 및 연기로 인해 자율주행차 상용화도 미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2일 경기도 고양시에 자리한 ‘현대모터스튜디오’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세미나를 통해 ‘2019 프랑크푸르트모터쇼(IAA)의 주요 동향과 시사점’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정 교수는 “올해 독일 프랑크푸르트모터쇼 규모가 상당히 축소됐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과 중국 시장 부진 탓에 실적이 하락한 독일 업체들이 전시를 줄였기 때문”이라며 “전기차 분야에서 뒤쳐진 미국과 일본 업체들도 마찬가지였다”고 전했다.
올들어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아우디폭스바겐그룹 모두 현지 모터쇼 규모를 축소할 만큼 본격적인 긴축재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한 미래차 투자전략도 주춤하고 있다.
미국과 서유럽 고속도로 정밀지도가 작년에 구축되면 글로벌 주요 자동차 업체들은 올해부터 레벨3 자율주행을 시험할 계획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2021년에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게 애초 계획이었다.
그러나 자동차 업체 준비 부족 등으로 인해 고속도로 정밀지도 제작이 내년께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정 교수는 말했다.
이어 자율주행 레벨3 상용화가 늦어지는 동안 자동차 업체들은 레벨2 기술 수준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친환경차와 소형차로 유럽시장에서 선전하는 현대차그룹은 양호한 수준이었고, 중국업체들이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 적극적인 모습이 보였다고 정 교수는 평가했다.
정 교수는 “애초 오는 2021년 자율주행 레벨3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예정이었다”라며 “다만 이 시점이 약 2년 더 미뤄진 2023년께로 점쳐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