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공공기관의 의료데이터를 정책연구 등 공공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통했다고 17일 밝혔다.
플랫폼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등 4개 공공기관의 빅데이터를 연계한 것으로, 국민건강 향상을 위한 연구 활용을 목적으로 구축됐다. 핵심 기능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 제안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신청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확인 △공공기관 간 데이터 연계·교류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기능 등이다.
플랫폼에선 국민 누구나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주제 등을 제안할 수 있고, 보건의료분야 연구자들은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신청할 수 있다.
실제 활용 사례를 보면, 이하정 서울대병원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본부의 신장이식수술 기록과 건강보험공단의 합병증 기록을 연계해 신장이식수술 이후 발생하는 합병증 추이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신장이식 환자의 관리지침을 개선하는 내용의 연구계획을 마련했다.
빅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은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데이터 편람을 내려받아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의 범위·형태·종류 등을 확인해 연구 설계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질의답변 등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연구과제의 공공성 심의 및 기술검토를 거쳐 데이터가 제공된다.
단 데이터에 의료기록 등 민감한 정보가 포함돼있는 만큼, 자료는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전용회선을 통해서만 전송된다. 또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 처리된다. 특히 데이터의 모든 개인정보에 대해선 비식별조치가 이뤄지고, 데이터 열람·분석은 폐쇄된 연구공간에서만 허용된다.
복지부는 이번 4개 공공기관 플랫폼 개통을 시장으로 빅데이터 활용을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이번에 개통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 의료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첫 결과물”며 “앞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국민건강 증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