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술과 자동차가 속속 등장하면서 때 아닌 걸림돌도 등장한다. 바로 자동차 자연발화다. 우리나라에서 연평균 5000여 건의 자동차 화재가 발생하는데 대부분 주행 중 사고로 발생한 화재다. 10% 정도가 방화 또는 자연발화다. 지난해 BMW에 이어 올해는 ‘전기차 화재’도 뉴스면을 장식했다.
이제 막 대중화를 향해 영역을 넓히고 있는 만큼 전기차에 관심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자동차 분야의 석학이자 한국전기차협회장을 맡고 있는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를 만나 전기차의 현황과 혜안을 직접 들었다.
◇전기차가 내연기관보다 발화 가능성 낮아 = “전기차도 불이 날 수 있는 구조예요. 얼마만큼 매뉴얼에 따라 관심을 갖고 관리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그는 만나자마자 ‘화재’라는 무서운 이야기를 꺼낸다. 차근차근 들어보니 일관성 있고, 논리도 뚜렷하다. 김 협회장은 “전기차는 내연기관보다 부품 수가 50%에 불과해 자연발화 위험이 적은 안전한 대체 수단”이라며 “다만 완성차 회사는 물론 오너의 관심과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소방청과 교통안전공단 등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총 4건이다. 2016년 아이오닉 EV가 교통사고로 인한 충격으로 화재를 일으켰다. 이후 나머지 1건은 방화, 2건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이다.
그는 전기차 화재에 대해 우리 사회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자동차와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예컨대 내연기관의 경우 연료가 일단 불이 붙을 수 있는 가연성이다. 반면 전기차의 동력원은 리튬 배터리다. 불을 붙여도 쉽게 화재로 이어지지 않는 장치다. 내연기관의 동력원보다 상대적으로 화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여기에 전기차는 전기모터를 제외하면 회전운동으로 동력을 나눠 쓰는 부품이 적다. 물리적인 회전에 따라 열을 내거나 마찰이 발생할 부품이 적은 만큼 여기에서 발생하는 화재도 적을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최근 등장한 전기차 화재 뉴스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그만큼 가보지 않은 기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전기차 시대 개막 앞두고 관련 예산 마련도 시급 = 김 협회장은 “기술적으로 안정화 시기에 접어든 전기차가 더욱 확대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효율적인 예산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기차의 기술적 문제보다 정부의 정책적 접근에 여러 문제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예컨대 전기차 충전기의 약 70%가 야외에 노출된 상태다. 기상 상황에 따라 충전기가 쉽게 고장 날 수 있는 구조다. 그는 “현재 전국의 전기차 충전기 가운데 약 10%가 고장 난 상태다.
이쪽을 수리하면 저쪽에서 또 고장이 나는 상황인데 선진국처럼 설치예산과 함께 관리예산을 별도로 편성해야 한다. 정부부처의 예산을 받아 지자체에서 전기차 충전기를 관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전기차 충전기 설치에 따른 정부 예산은 존재하지만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예산을 별도로 편성하지 않고 있다. 전기차 시대가 도래하면서 서둘러 충전기만 보급했을 뿐, 이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전국의 충전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현재 보급된 충전기를 고장 없이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충전기 확대 보급에 걸맞은 효과를 낸다는 뜻이다.
◇전기차 10만 대 시대… 사용설명서가 신기술 교과서 = 전기차는 내연기관 시대를 넘어 친환경차의 궁극점으로 여겨진다. 정부 역시 내년에 전국적으로 10만 대를 보급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2020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내년 예산은 4조 원으로 올해 2조3000억 원보다 1조7000억 원(74.6%) 늘었다. 올해 추경 예산 규모(1조3000억 원)를 감안해도 4000억 원 정도 더 늘었다.
정부는 투자를 대폭 늘려 핵심 미세먼지 배출원 감축 속도를 가속하고 배출량 저감 목표를 1년 앞당겨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 가운데 핵심이 전기차 보급과 함께 충전 기반시설 보급도 대폭 확대한다. 관련 예산은 올해 7000억 원에서 1조1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이처럼 매년 2배씩 늘어나는 전기차 시대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김 협회장은 전기차 시대를 맞아 전기차 오너의 자세도 강조했다.
우리는 신차를 구입하고 차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얻는 게 대부분인데 가장 중요한 지침은 완성차 메이커가 제시하는 사용설명서다. 김 협회장은 전기차와 관련한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해 “자동차 회사가 제공하는 사용설명서(매뉴얼)가 최고”라고 꼽는다.
“내가 구입한 자동차에 대한 가장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는 차와 함께 주는 사용설명서 이른바 매뉴얼에 담겨 있어요. 거기에 나오는 관리 요령만 충분히 따르고 관심 있게 지켜보면 일련의 고장이나 재해를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