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자는 대구 달성 출신으로 경북고와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86년 행정고시 30회로 공직에 입문한 이래 33년 간 농식품부에서만 일한 정통 농정 관료다. 5월까지 농식품부 차관으로 일하며 이개호 현 장관과 호흡을 맞췄다.
김 후보자는 꼼꼼함과 추진력 덕에 정권을 가리지 않고 중용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농업정책국장과 기획조정실장, 차관보를 지낸 데 이어 이번 정부에서도 첫 농식품부 차관에 발탁됐다. 특히 지난해 3월 김영록 전 장관이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한 후 이 장관이 8월 취임할 때까지 장관 대행으로 다섯 달 간 무리 없이 농식품부를 이끌었다. 이 같은 점 때문에 농식품부 안팎에선 김 후보자가 차관에서 물러난 직후부터 장관으로 곧 복귀할 것이란 전망이 파다했다.
김 후보자의 주전공은 식량 정책이다. 2004년 식량정책과장을 지내며, 쌀 추곡수매제를 폐지하고 직접지불금(직불금)과 정부 비축제를 도입한 식량 정책 개혁의 밑그림을 짰다. 김 후보자가 장관에 임명된다면 문재인 정부 농정의 핵심 과제인 논ㆍ밭 직불금 통합, 직불금 차등화 등 공익형 직불제 도입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김 후보자는 농업 통상에도 일가견이 있다. 과장 시절, 세계무역기구(WTO) 농업협상과 쌀 관세화 협상에 잇따라 투입됐다. 2008년엔 농림수산식품부 대변인을 맡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파동을 진화하는 소방수 노릇도 했다. 최근 미국으로부터 한국 농업이 WTO 개발도상국 지위 포기 압력을 받는 상황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민단체와의 관계 설정은 김 후보자의 과제다. 지난달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일부 농민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김 후보자를 겨냥해 "자기 성찰과 반성 없는 적폐 관료를 농업의 수장으로 임명하면 이것이야말로 농업 포기며 소통 포기"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