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대출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자영업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경기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지방경제를 중심으로 대출 부실화가 급속도로 확산될 조짐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주요 시중은행의 자영업자(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일제히 상승했다. 국민은행은 올해 1분기 연체율이 0.24%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이지만 전분기 대비 0.04%포인트, 전년 동기 대비 0.06%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하나은행은 전분기 대비 0.10%포인트, 전년 동기 대비 0.08%포인트 오른 0.41%를 기록했다.
농협은행은 0.41%로 전분기 대비 0.02%포인트 하락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0.04%포인트가 올랐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0.23%, 0.21%로 안정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자동차·조선·해운업 경기침체… 대출 부실 확산 = 연체율은 매각과 상각 등 은행들의 정기적인 연체채권 처리로 계절성을 띤다. 주로 연말에 낮아지다가 연초에 다시 높아진다. 이번 시중은행의 연체율 상승을 두고 계절적인 영향이 없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소폭 반등한 것도 사실이다.
숫자만 보면 은행에서 빌린 돈을 제때 갚지 못하는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은행별로 따져보면 해석은 다양해진다. 특히 하나금융은 1분기에 부실채권 매각을 하지 않았고, 거액 대출자의 사망도 영향을 미쳤다. 이 경우라면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외부적 요인 영향에 따라 연체율 계산에 들어가는 숫자만 커진 것이다.
다만 최근 자동차·조선·해운업 등의 경기침체로 인해 지방경제가 취약한 실정이다. 자영업자를 포함한 전체 가계·기업대출의 연체율은 시중은행에선 1% 미만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지방은행은 연체율이 이미 1% 넘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연체율 반등이 실물경기지표의 악화나 소득 양극화 등과 맞물리면 자영업자, 저신용·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부실이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카드 연체율 오르고 보험 해지 늘어 = 카드업계도 상황이 비슷하다.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KB국민카드 등 주요 7개 카드사의 올해 1분기 연체율(대환대출 포함)이 전부 작년 1분기보다 상승했다.
카드사 연체율 상승은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를 못 갚는 이가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보험업권에서는 보험계약을 자발적으로 해지하거나, 보험료 납입을 못해 강제 해지되는 이들이 많아졌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생명보험사에서 작년 한 해 동안 보험 633만2212건이 해지환급(자발적)되거나 효력상실 환급(비자발적)됐다.
생명보험사는 이렇게 해지된 보험으로 고객에게 27조5000억 원을 돌려줬는데, 이는 생보사가 작년 한 해 보험금, 환급금, 배당 등으로 고객에게 준 전체 금액(58조9000억 원)의 46.8%에 달했다. 생보사의 전체 지급금액 대비 해지·효력 상실로 인한 지급액 비중은 2016년 45.6%, 2017년 45.3%, 작년 46.8%로 상승 추세다.
손해보험도 장기해약 환급금 비율이 상승하고 있다. 2017년에 전체 장기 원수 보험료 49조 원 중 21.7%(10조7000억 원)가 장기해약 환급금으로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