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게이밍 모니터 시장점유율 10% 근접...국내선 선두 부상

입력 2018-12-18 09: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전자 2018년형 커브드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 'CJG5'(32형)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2018년형 커브드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 'CJG5'(32형)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전세계 게이밍 모니터 시장에서 점유율 10%까지 끌어올려 ‘톱 3’ 진입을 눈앞에 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가 최근 집계한 '주사율 100㎐ 이상 게이밍 모니터 시장점유율 통계'에서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에 9.7%를 기록하며 4위를 차지했다.

대만 에이서는 24.8%에 달하는 점유율로 1위에 올랐다. AOC(13.8%)와 델(11.2%)은 삼성전자에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삼성전자는 작년 3분기에는 점유율 7.6%에 그치면서 에이서(25.0%)와 벤큐(11.7%), 에이수스(11.0%), AOC(10.5%), 델(10.2%) 등에 이어 6위에 그쳤다. 하지만 올해 들어 선전하면서 2위 그룹까지 위협하게 됐다.

삼성전자의 선전에 대해 업계는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 제품 수요를 장악한 것에 따른 결과라고 해석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144㎐의 고주사율을 지원하고 WQHD(2560×1440)급 해상도를 갖춘 커브드 게이밍 모니터를 잇달아 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게이밍 모니터 가운데서도 커브드 모니터의 판매가 급증하는 추세"라면서 "올 1분기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전세계 커브드 게이밍 모니터 시장에서 24%의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국내 게이밍 모니터 시장에서도 판매 호조를 이어가면서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지난해 연간 점유율 22.8%를 차지하며 델(26.4%)에 이어 2위였던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까지는 점유율이 38.2%에 달했다. 델은 9.8%로 3위로 처졌고, LG전자가 24.9%로 2위를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게이밍 모니터 시장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델과 삼성전자를 비롯해 LG전자, 벤큐, 뷰소닉 등 여러 업체가 경쟁을 벌였다“며 ”올해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우리 업체들이 주도권을 잡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865,000
    • +3.55%
    • 이더리움
    • 4,409,000
    • -0.36%
    • 비트코인 캐시
    • 602,500
    • +1.35%
    • 리플
    • 813
    • +0.25%
    • 솔라나
    • 291,700
    • +2.42%
    • 에이다
    • 812
    • +1.25%
    • 이오스
    • 779
    • +5.84%
    • 트론
    • 231
    • +0.87%
    • 스텔라루멘
    • 153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000
    • +0.67%
    • 체인링크
    • 19,400
    • -3.48%
    • 샌드박스
    • 404
    • +1.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