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를 피하려는 ‘갭투자’로 상승세를 이어가던 대전 집값이 조정대상지역에 묶일 수 있다는 우려에 주춤하고 있다.
4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대전은 9·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구와 유성구를 중심으로 갭투자가 활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갭투자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의 차이가 적은 집을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투자 방식이다.
실제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대전의 11월(10월 15일~11월 12일) 집값 상승률은 0.63%로 시도별 기준으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서구는 이달 1.37%로 시군구별로도 전국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유성구는 0.72%로 대전 평균 이상으로 올랐다.
현장은 9·13 대책이 도입된 이후 규제가 더욱 거세지면서 비규제지역인 대전으로의 수요 이전이 발생했다고 전한다.
대전 서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10년 정도 잠잠하던 지역이었는데 9·13 대책 전후로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며 “부산, 세종, 대구, 광주 등 각지에서 온 외지인들이 매수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했다”고 말했다. 특히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높은 70% 수준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때문에 갭투자가 활발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시장 상황이 변하면서 갭투자서 실수요 거래로 중심이 옮겨가는 분위기다. 갭투자가 활발해지면서 매매 물건은 줄어들고 전세 물건은 늘어나는 상황이 동반되며 전세가율이 예전만큼 투자하기 좋은 조건에서 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11월 중순 이후부터는 집값 상승세로 조정대상지역에 묶일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기 시작해 활발하던 거래도 뜸해지는 분위기다.
서구의 또 다른 중개업소 대표는 “서구는 여태 오르지 않다가 이제야 조금 올랐는데, 이걸로 조정대상지역에 묶일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대전 집값은 여전히 싸기 때문에 주민 중에서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으면 안 된다는 탄원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 집값이 뒤늦게 오를 수 있던 근본 원인으로는 현저히 부족한 공급량이 꼽힌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대전은 최근 4년(2013~2017년) 1000가구당 주택 준공량이 77호로 전국 평균(113호)과 서울(87호)보다도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유성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그동안 대전은 공급량이 없어도 세종이 수요를 당겨가는 통에 집값이 제대로 오르지 않았는데, 규제 강도에서 큰 우위를 점하면서 다시 대전으로 수요가 옮겨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