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대해 수출입 금지라는 수단으로 직격탄을 날리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의 반사 이익이 전망된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중국의 DRAM 업체 푸젠진화반도체(JHICC)에 대해 수출입 금지를 발표했다. 상무부는 푸젠진화의 반도체 생산 능력이 미국 군사 분야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미국 업체들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들면서, 국가 안보를 침해할 중대한 위험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푸젠진화반도체는 메모리 생산을 준비하는 중국 3개 주요 기업 중 하나로 DRAM 생산을 준비하고 있으며 2020년 생산 시작 예정이다. 푸젠진화와 마이크론이 현재 기술 도용 소송 중이라 3개 기업 중 푸젠진화가 제재 대상이 된 것으로 업계는 판단하고 있다. 아울러 향후 나머지 2개 기업(칭화유니그룹, 허페이이노트론)도 제재 대상으로 확산될 것으로 분석됐다.
유진투자증권 이승우 연구원은 “트럼프 정부의 중국 견제가 단순한 관세 문제가 아님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며 “단기적으로 G2의 갈등과 노이즈 확산이 양국의 무역 분쟁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IT섹터에 부담이 될 수 있지만, 중국의 반도체 굴기 전략이 상당한 역풍을 만나게 됐다는 점에서 한국 반도체 입장에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오히려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NH투자증권 도현우 연구원은 “미국 정부의 이번 조치로 당분간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굴기가 원천 봉쇄됨에 따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에 매우 긍정적”이라며 “또 중국 메모리 업체가 미국 장비 대신 한국과 일본 같은 대체 국가 장비를 주로 구입하는 전략이 예상됨에 따라 테스, 유진테크, 주성엔지니어링 등 국내 반도체 장비 업체에도 수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