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둔화와 함께 가계소득 양극화도 고착화하는 모습이다.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고소득층은 소득이 크게 늘었지만, 저소득층은 감소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53만1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다. 근로·사업소득 등 경상소득은 6.3% 늘었으나, 경조소득·퇴직수당 등 비경상소득은 68.6% 감소했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최하위 계층인 1분위의 소득은 132만4900원으로 7.6% 감소한 반면, 최상위인 5분위는 913만4900원으로 10.3% 증가했다. 1분위의 경우 소득의 절반을 차지하는 근로·사업소득이 각각 15.9%, 21.0% 감소했다. 비경상소득은 94.1% 줄었다. 이 때문에 이전소득 증가(19.0%)에도 불구하고 전체 소득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5분위는 비경상소득을 제외한 모든 소득이 증가했다. 근로·사업소득은 각각 12.9%, 8.8% 증가하고, 재산·이전소득도 각각 40.0%, 18.8% 늘었다.
1분위의 비경상소득이 감소한 것은 비경상소득의 일부가 이전소득으로 편입됐기 때문이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예전에는 부모·자식 간 주고받는 용돈을 비정기적이라고 해서 비경상소득으로 조사했는데, 올해부터는 이전소득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근로·사업소득 감소다. 전체 가구에서 근로·사업소득은 가구 소득의 각각 66.9%, 20.4%를 차지한다. 1분기와 비교해 전년 동기 대비 사업소득 감포 폭은 다소 축소됐으나, 근로소득 감소 폭은 확대됐다. 박 과장은 “가구에서 취업인원이 감소하고, 내수 부진으로 영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사업소득이 줄면서 1분위의 전반적인 소득수준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역시 양극화 추세가 뚜렷했다. 1분위는 84만9600원으로 0.4% 감소하고, 5분위는 444만3300원으로 10.2% 증가했다. 1분위의 경우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각각 14.4%, 31.7% 늘었으나 절대액이 큰 근로·사업소득이 각각 4.5%, 14.6% 줄면서 감소세를 보였다. 5분위는 근로·사업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이 각각 15.6%, 2.7%, 28.6% 증가했다.
이 밖에 2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94만21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했다. 가구간이전지출은 25만7800원으로25.4% 증가했다. 경상조세, 연금, 사회보험, 이자비용이 각각 23.7%, 10.0%, 14.6%, 26.5% 증가했으며 상속·취득·양도소득세, 과징금 등 비경상조세는 52.7%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