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기존의 주문주도형 시장에서 딜러(시장조성자) 제도를 통합한 시장 구조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호가주도형 시장인 미국 나스닥(Nasdaq)처럼 ‘마켓메이커’를 두어 주가 급변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안이다.
이은태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은 29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시장조성자를 육성하고 종목의 거래특성에 부합하는 차별적인 매매방식을 추진하는 등 시장구조를 혁신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국내 시장은 투자자의 주문 간에 직접 체결이 이루어지는 주문주도형 시장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딜러가 제시한 가격에 투자자들이 대응하고 매매하는 호가주도형 체결구조와는 대비되는 양상이다. 이로 인해 거래가 일부 대형주에 집중되고, 단기 주문으로 인한 주가 급등락 문제가 발생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거래소는 이미 지난해 딜러 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지만, 참여 회원사가 5개에 불과해 실효성이 없는 상황이다.
미국, 독일 등 해외 주요시장에서는 딜러 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전체 상장종목에 DMM(Designated Market Maker)을 지정하고, 일정범위 이내 호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신규 상장 단계에서부터 DMM 지정을 의무화해 참여 비율을 높이고 있다.
이 본부장은 “올해는 딜러를 지정할 대상종목 범위, 딜러 회원 도입 여부, 딜러의 역할과 권한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며 “매매체결 구조의 개편은 증권사의 적극적인 참여와 제반환경의 개선이 수반돼야 하므로 정부, 업계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시장 신뢰를 높이기 위한 투자자 정보불균형 해소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코스피시장의 개인 투자자 비중은 50%로 참여율이 높지만, 주로 중소형주 거래에 국한돼 있어 외국인, 기관 투자자 대비 정보 공유 환경이 취약하다. 이에 개인 투자자가 증권사의 투자분석정보 등을 쉽게 열람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등 불균형 해소를 위해 투자분석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시장 제도와 인프라 혁신을 통한 유동성 제공 △새롭고 다양한 투자상품의 제공과 유통구조 개편 △국내외 채널을 통한 자본시장 마케팅 활동 등이 주요 추진 전략으로 소개됐다.
이 본부장은 “올해 사업계획 달성을 통해 금융소비자 중심의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글로벌 경쟁우위의 선진 증시 인프라를 구축해 우량상품 중심의 글로벌 증권시장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