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공유경제를 표방하며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던 심야버스 공유 서비스 사업인 ‘콜버스’가 사업 중단 위기에 빠졌다. 민간사업을 시 정책인 것처럼 포장한 것도 모자라 약속했던 행정지원도 전무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서울시의 스타트업 지원사업이 빛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가 지난해 ’공감정책 1위’로 선정했던 스타트업 콜버스가 서울시 발표 후 4개월 만에 심야버스 공유 서비스 사업 대신 전세버스 예약서비스로 주력 사업을 전환했다. 회사를 소개하는 홈페이지 대표 문구도 ‘막차 끊겼을 땐 콜버스’에서‘콜버스, 전세버스 가격비교부터 예약까지’로 변경했으며 ’심야 콜버스 운행’이라는 홍보 문구는 아예 사라졌다. 서울시가 당초 약속했던 정책 지원을 이행하지 않으면서 심야버스 차량이 14대에서 12대로 줄고, 서비스 지역도 확대하지 못해 적자만 쌓이자 회사로서는 새로운 수익원을 찾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서울시 10대 뉴스’ 1위로 콜버스 사업이 선정됐다고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10대 뉴스는 한 해 역점을 두고 추진한 주요 정책 가운데 시민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2015년 12월 처음 사업을 시작한 콜버스는 스마트폰을 통해 목적지 및 경로가 비슷한 승객을 모아 운송하는 콜택시와 유사한 서비스로, 평일 심야 시간대(오후 11시~오전 4시)에 앱을 통해 이용한다. 당시 서울시는 강남 지역에서만 출발하던 콜버스를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면허를 받지 않고 노선이 정해지지 않은 버스를 운행하는 것은 불법’이라는 택시업계의 반발에 부딪혀 불법 논란이 불거지자 서울시가 당초 약속했던 정책적 지원을 해주지 않아 콜버스 사업이 지지부진하게 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시는 콜버스 사업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과 규제 철폐를 약속하면서 대대적 홍보에 나섰는데 실제로 약속을 이행한 것은 하나도 없다”며 “그동안 공유경제를 내세웠던 박원순 시장이 오히려 콜버스에 대해 규제하며 공유경제의 싹을 자르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콜버스 출범 당시 택시업계 등 반대하는 단체가 많아 서울시가 중재 역할을 하다 보니 우리 정책처럼 보이게 된 것 같다”며 “예산 지원 등은 법적 근거가 없어 진행하기 어려웠지만 콜버스와 택시조합간 회의는 지속적으로 주재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이어 “스타트업 업체 측에서는 초기에 야심 차게 출범했지만, 애당초 사업에 공익적 의미는 있더라도 수익성이 나기는 어려운 구조였다”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7일 카풀 스타트업 업체인 ‘풀러스’도 불법으로 규정짓고 경찰에 고발하면서 벤처업계로부터 큰 반발을 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