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에는 석유, 중국에는 희토류.”
덩샤오핑(鄧小平) 전 중국 최고 지도자가 1992년 희토류의 가치를 강조하며 했던 말이다. 그의 언급 이후 25년이 지난 현재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시장을 장악하며, 세계 기술의 미래를 책임질 핵심 자원을 손에 쥐게 됐다.
문제는 기술은 가졌지만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의 첨단 기업들이 곤란해졌다는 점이다. 최근 사드(THAAD) 보복 등으로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하면서 희토류 공급이 끊길까 노심초사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더구나 이들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차 등 미래 먹거리와 직결된 핵심 업종들이다.
19일 한국자원정보서비스와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희토류 광물의 80% 이상이 중국에서 채굴되고 있으며 아프리카 등 다른 광물 생산국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주요 광산을 빠르게 선점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환경 오염 등을 이유로 불법 희토류 광산을 폐쇄하고, 채굴량도 10만5000톤 수준으로 묶어놓으면서 희토류 가격은 파죽지세로 오르고 있다.
전기차나 배터리,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업종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중심의 희토류 독점 구조가 향후 중국의 자원 무기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중국과의 관계가 소원해진 우리나라는 자칫 일본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앞서 2010년 9월 센카쿠열도 인근 해역에서 중국 어선과 일본 순시선이 충돌했을 당시, 일본 측이 중국인 선장 석방을 거부하자 중국 정부는 희토류를 무기로 꺼내들었다. IT제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의 85%를 중국산으로 의지하고 있던 일본은 희토류 수출 중단 조치가 나온 지 하루 만에 중국인 선장을 석방했다.
최근 사드 문제로 중국 사업에서 갈등을 겪고 있는 국내 업체들은 과거 일본 사례와 같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중단 위협까지 걱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도 국내 기업들은 희토류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커지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효주 신한금융투자증권 연구원은 “희토류 생산과 대체품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나 아직 가시화한 성과가 없다”며 “중국을 중심으로 한 희토류 생산 축소와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관련 산업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