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현재 중3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2021학년도 수능 개편에 속도가 붙으면서 이에 대한 논란도 뜨겁다.
18일 정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대입단순화 및 수능개편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다음달 말 결과를 내놓기로 했다.
TF는 새 정부의 대입정책에 대한 현장 소통을 추진해 대입전형을 학생부전형과 수능전형 위주로 단순화하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을 8월 말까지 확정할 예정이다. TF팀은 교육부 대입제도과 인력 2명과 파견 3명 등 5명으로 꾸려질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수능 절대평가 전환을 공약했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지난 12일 수능과 관련해 “지난해 한국사 적용에 이어 올해 영어 절대평가가 실시되는 만큼 수능 절대평가제를 시범 운영해온 셈”이라며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 부총리는 지난 5일 취임식에서 밝힌 수능 절대평가 전환 방침을 재확인한 것이다.
교육부가 ‘대입단순화 및 수능개편 추진 TF’를 신설하고, 수능 개편 작업에 착수하면서 찬반 논란도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최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초중고교 교원 2077명을 대상으로 수능 절대평가 전환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51.9%(1078명)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부정적이라는 응답도 39.8%(826명)에 달했다.
긍정적으로 본 이유로는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505명)와 ‘학생들 입시부담 완화’(307명)를 많이 꼽았다. ‘다양하고 내실 있는 교육활동이 가능해짐’과 ‘사교육비 경감’ 등을 택한 이는 각각 216명과 41명이었다.
부정적인 생각을 밝힌 응답자들은 ‘변별력 확보가 어려움’(401명)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다음은 ‘변별력 확보를 위한 대학별 새 전형방법 도입 우려’(282명), ‘내신이 불리한 학생의 대학진학 기회 축소’(82명), ‘정시모집 위축 우려’(57명) 순이었다.
김영식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은 “수능에 대해 공정한 변별력만 볼 게 아니라 교육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며 “너무 심한 변별을 요구해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정책위원장은 “수능은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변별을 위한 객관적 면접 시스템 등은 대학에서 준비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수능 절대평가 확대가 사교육비 절감에 얼마나 큰 효과가 있을지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강남의 한 영어학원 원장은 “사교육 수요가 고교 내신으로 옮겨갈 수 있다”며 “또다른 형태의 불공정한 평가 방식이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