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脫)원전·탈석탄 정책이 시행되면 즉각 대응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비중 확대가 확실시되지만 향후 천연가스 가격이 오를 경우 세계 2위 LNG 도입국인 우리나라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틀째인 8일(현지시간) 말콤 턴불 호주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한국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LNG(액화천연가스) 수급 문제 등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한국은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을 줄여나가는 대신 LNG 발전을 늘리려 하기 때문에 앞으로 LNG 수요가 더 많아질 것”이라며 “호주의 역할에 기대가 크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최근 LNG 발전 비중을 현재 18.8%에서 2030년 37%까지 올리기로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 LNG는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에너지 안보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주장한다.
IEA에 따르면 글로벌 LNG 수요는 2020년까지 2억5000만 톤에서 3억5000만 톤 수준으로 2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과 인도의 LNG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전통적 수출국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LNG 수출국인 동시에 수입국으로 변모할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적으로 파리 협정에 따라 참여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NDC(국별결정기여)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돼 있어 석탄, 석유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가스의 역할이 커질 수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에너지 전문가는 “중국은 작년 파리협정 이후,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겠다며 비화석 에너지 비중을 높이고 있는데, 중국에서 LNG 수요가 늘어날 경우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의 LNG 도입정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그는 “향후 4~5년간은 가스 수급 상황이 좋을 것으로 보이지만, 민간 직수입을 활성화해 LNG 도입비용을 낮추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정부와 관련업계는 LNG가 대부분 20년 장기계약을 맺고 수입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LNG가 국제유가에 연동해 가격이 오르내리지만, 급격한 가격 조정은 흔치 않다”며 “일본 원전 사태 등 일시적인 사고로 수요가 늘면 파급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