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원장은 전날 금융감독원 여의도 본원 9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송년회를 겸한 ‘2017년 경제 전망과 주요 리스크’ 주제의 금융포럼을 통해 우리 금융산업을 전망하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국내 금융산업이 대체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은행업 당기순이익의 경우 조선·해운 기업구조조정 여파로 국책은행을 중심으로 특수은행은 악화됐으나, 일반은행은 개선됐다는 것이다.
신 원장은 “국책은행에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면 해야 할 것이지만, 국내은행의 자산 건전성은 양호하다”라고 판단했다.
또 금융투자업 역시 성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증권사의 총자산 및 자산운용사의 총 운용자산(AUM·Asset under management)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ROE(자기자본이익률)와 당기순이익도 증가세에 있다.
신 원장은 내년에는 서민금융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기적 관점에서 민간 서민금융과 정책 서민금융 간의 역할 전문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민간 서민금융은 관계형에 더해 지역 밀착형 금융으로 가고, 정책 서민금융은 ‘민간의 시장실패’를 보정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에 가려 상대적으로 위기감이 덜한 기업부채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재무 건전성 악화 우려가 나오고 있는 데다 환율 상승은 외화부채의 상환부담을 가중한다는 것이다.
신 원장은 “원·달러 환율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요통화 대비 달러가치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면서 “달러 인덱스는 당분간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선진국의 보호무역주의는 곧 수출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며 “해외 현지법인에 대한 보증 등 기업의 우발적 외화채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원장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한국경제 위기 돌파 해법에 관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기능론과 관련해서는 “국가 재정을 얼마나 투입할 것인지가 아닌, 어디에 투하할 것인가가 중요하다”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이어 “금리 인하를 통해 소비를 진작시키고 기업 투자를 늘리는 등 전통적인 완화적 통화정책의 효과가 이제는 별로 없다”라고 덧붙였다.
경제성장률을 제고하기 위한 재정 투입의 승수효과가 낮아져 있는 상태에서는 확장적 재정정책의 재원 규모보다는 사회 안전망·인프라 구축 등을 위해 재원을 적재적소에 배분하는 전략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