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치고 낸 성명에서 의결권이 있는 위원 10명 중 2명이 기준금리 동결에 반대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의 에스더 조지 총재와 클리블랜드 연은의 로레타 메스터 총재가 이번 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인상을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다. 조지 총재는 이날까지 올해 7차례 열린 FOMC에서 무려 5번 반대표를 행사했고 메스터 총재는 2회 연속이다.
지난 9월 FOMC에서는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은 총재까지 무려 3명이 옐런에게 반기를 들었다. 연준 위원 3명이 반대표를 행사한 것은 지난 2014년 12월 이후 2년 만에 처음이었다.
블룸버그는 지난 2014년 옐런이 취임하고 나서 FOMC에서 연준 의장 의견에 대한 반대 비율이 7.7%로, 1980년대 폴 볼커 시대 이후 최고치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특히 볼커가 당시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공격적으로 금리 인상한 점을 감안하면 옐런에 대한 반기는 이례적인 것이다.
그러나 FOMC에서 일치된 의견이 나오지 않으면 투자자들이 현재 정책의 타당성에 의문을 품게 돼 불안해하는 역효과가 나올 수 있다. 옐런 의장도 이 점을 잘 알고 있기에 FOMC가 있을 때마다 그 전에 각 지역 연은 총재와 먼저 대화를 나누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런 노력에도 말발이 안 서는 것이다.
더욱 큰 문제는 시장의 무반응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는 지난 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자신의 임기(2018년 4월까지) 내 2% 물가 상승률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럼에도 시장은 이미 예견된 결과라며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당시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0.1% 상승했다.
이렇게 시장과의 의사소통이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 중앙은행 통화정책에 한계가 올 수밖에 없다. 통화정책이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동안 중앙은행 총재들은 자신의 발언을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무기로 삼아왔다.
구로다 총재는 물론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최근 경기회복에는 통화정책뿐 아니라 정부 재정정책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점점 약발이 떨어지는 중앙은행 수장들의 현실을 반영한다는 평가다.
마크 카니 영란은행(BOE) 총재는 당초 2018년 6월까지였던 임기가 1년 뒤로 연장됐지만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인 브렉시트 국민투표에 앞서 이탈 악영향을 너무 과장했다며 사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