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공격적인 빅딜을 주도하며 ‘차이나 머니’의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기업들의 올해 해외 인수·합병(M&A) 규모가 2070억 달러(약 236조1870억 원)로 이미 사상 최대치를 돌파했다며 그 비결을 분석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기업들이 수년간 쌓아온 노하우와 신뢰를 바탕으로 안보와 기술 유출, 일자리 상실 등 해외 각국의 차이나 머니에 대한 공포를 극복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대표적 사례로 중국 가전 대기업 메이디그룹의 독일 로봇업체 쿠카 인수를 예로 들었다.
통신에 따르면 메이디가 지난 5월 독일 첨단로봇산업을 선도하는 쿠카의 대주주가 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을 때 유럽연합(EU)에서 반발이 거셌다. 심지어 지그마어 가브리엘 독일 경제부장관은 메이디의 쿠카 인수를 막고자 다른 컨소시엄 결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쿠카는 에어버스 제트기와 아우디 세단 등을 조립하는 로봇팔을 생산하는데, 이런 첨단기술이 중국으로 유출되는 것을 우려한 움직임이었다. 이에 메이디는 정치적 우호관계 구축과 일자리 보장 약속, 다임러의 디터 제체 최고경영자(CEO)와 같은 현지 산업계 유력인사의 지지를 확보하며 이런 난관을 극복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 결과, 메이디는 지난 7월 쿠카 지분 86% 확보에 성공했고 쿠카의 기업가치는 46억 유로로 뛰었다.
영국 런던 로펌 링크레이터스의 니콜라 마요 파트너는 “많은 중국 기업이 지난 수년간 해외 M&A를 모색하고 주주들의 불안을 완화시키는 데 노하우를 쌓았다”며 “중국 대기업에서 M&A를 담당하는 매니저들은 유학했거나 다국적 기업에서 일한 경력이 있다. 이들은 중국에 대한 우려를 이해하고 있으며 조심스럽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울들어 차이나 머니의 특징은 유럽 M&A 시장에서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중국의 해외 M&A 중 절반가량을 유럽이 차지했다. 중국 기업들은 서구권에서 적대적 M&A가 사실상 봉쇄된 상태이지만 수년에 걸쳐 비공식적으로 인수 대상 기업과 관계를 쌓아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M&A를 진행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여기에는 현 경영진 유지, 최소 5년 이상의 투자 약속, 독립적인 감사체제 유지 등 달콤한 약속도 수반된다.
중국 기업의 해외 M&A 사상 최대였던 중국화공집단공사(켐차이나)의 스위스 농업업체 신젠타 인수에서도 이런 전략이 효과를 발휘했다. 켐차이나는 인수 협상 초기 단계에서 신젠타에 양사 합병 이후 지배구조를 제안하라고 요청했다. 피인수 기업에 이런 주도적인 역할을 맡긴 것은 매우 드문 사례라는 평가다. 그만큼 켐차이나가 인수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줄이고자 세심하게 신경을 썼다는 이야기다.
지난 6월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핀란드 스마트폰 게임업체 슈퍼셀을 86억 달러에 인수한 텐센트홀딩스도 인수가 성사되기 전에 마화텅 CEO와 제임스 미첼 최고전략책임자(CSO) 등 텐센트 임원들이 직접 핀란드를 방문해 인수 거부권을 갖고 있는 슈퍼셀 창업자들에게 경영권 독립을 약속하면서 설득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