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산 내부식성 철강제품(조금판재류)에 최대 48%의 반덤핌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구조조정을 눈앞에 둔 국내 철강업계가 ‘설상가상’ 처지에 놓였다. 오는 11월 국내산 후판 반덤핑 예비 판정을 앞두고 있는 만큼 피해가 더욱 확산돼 업계가 아예 휘청거리지 않을까 노심초사다.
27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미 상무부(DOC)는 수입산 내부식성 철강제품을 조사한 결과 한국과 중국을 포함해 인도, 이탈리아, 대만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로 현대제철과 포스코는 각각 47.8%, 31.7% 반덤핑 관세를 물어야 한다. 동국제강은 8.75%를 부과 받았다. 평균 관세율은 28.3%다. 당초 반덤핑 예비판정(최대 3.5%) 때 받았던 세율보다 훨씬 높다.
이번 반덤핑 관세의 직접적인 타깃은 중국이다. 미 상무부는 대미 수출물량이 있는 대부분 중국 업체에 최대 451%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하지만 내부식성 철강 수출 물량이 많은 한국도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26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내부식성 철강 수출량은 59만4000t으로 중국(70만5600t), 대만(60만3200t)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중국 철강업체를 겨냥해 강도 높은 반덤핑 제재를 가하는 와중에 국내 철강사에 불똥이 튄것 같다”고 말했다.
국내 철강사로선 저가 수입 철강으로 인해 일자리에 타격을 받고 있다고 판단한 미 당국이 철강 반덤핑 관세를 높이고 있다는 점은 악재다. 미 상무부는 오는 11월 내부식성 철강 이외에 한국산 후판에 대해서도 반덤핑 예비 판정을 내릴 전망이어서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이 한국에 비해 훨씬 큰 관세 폭탄을 맞으며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사실상 중국산이 450%가 넘는 반덤핑 관세를 맞으며 금수 조치가 내려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한국 제품이 경쟁력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