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시 세계는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에 기반한다.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한 것은, 타인들과의 소통이 불가능해져, 갇힌 개별자의 비극적 모습이 마치 무덤 속의 시체처럼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는 데 있다.” 문학평론가 김현씨가 요절 시인 기형도(1960.3.13~1989.3.7)의 시 세계를 평한 내용이다. 그로테스크라는 말을 떠올리게 하는 그의 시는 우울하고 비관적이었다. 그 근저에는 불우한 어린 시절의 체험과 정치ㆍ사회적 억압이 자리하고 있다.
그는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에서 공무원인 아버지의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65년에는 경기도 시흥군 서면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로 이주했다. 산업화에 밀린 철거민과 수재민들의 정착지로, 도시 근교 농업이 성한 농촌이었다.
중앙고를 거쳐 1979년 연세대 정외과에 입학한 그는 연세문학회 가입을 계기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함께 활동한 회원 중 한 명이 법학과의 성석제(소설가)다. 1985년 대학을 졸업하던 해에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안개’가 당선됐다. 그 전년에 중앙일보에 입사, 정치부 문화부 편집부 기자로 일했다.
그는 1989년 3월 7일 새벽 종로의 파고다극장에서 심야 영화를 관람하다가 뇌졸중으로 숨진 채 발견됐다. 같은 해 5월 유고시집 ‘입속의 검은 잎’이 발간됐다. 유고시집의 제목은 김현씨가 정했다.
경기도 안성시 천주교공원묘지에 조성된 그의 무덤은 문학 지망생들에게 일종의 성지가 됐다. 갑작스러운 요절과, 죽음의 그림자가 짙은 시는 이후 ‘기형도 신화’를 빚어냈다. 10주기에 간행된 ‘기형도 전집’(1999)에는 ‘입 속의 검은 잎’은 물론 수필집 ‘짧은 여행의 기록’(1990), 추모문집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1994)와 미발표시 20편, 단편 ‘겨울의 끝’이 수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