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주담대] 거치상환 사라지고 처음부터 원리금 나눠 갚아야

입력 2016-02-01 11: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담보 위주→상환능력 중심으로 평가

주택담보대출 심사가 1일부터 강화된다.

과거 부동산 경기가 활황을 이어갈 때는 주택을 구매하고 이자만 갚다 시세 차익을 남기고 막대한 투자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가 정체기 접어들면서 상당한 가계부채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특히 정부가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는 ‘빚은 고정금리로 처음부터 갚아나가야 한다’는 원칙을 확산하는 일환이다.

소비자들은 갚을 수 있는 만큼만 빌려 원금과 이자를 함께 상환해 나가야 한다. 매달 이자만 내다가 만기에 원금을 한 번에 털어버리던 주택담보대출 관행이 바뀌는 것이다.

먼저 담보 위주의 소득심사가 상환능력 위주의 소득심사로 바뀐다. 예전에는 주택 가격에 따라 담보가치를 설정했지만, 앞으로는 소득 수준 등 원리금 상환 능력까지 심사하게 된다.

거치기간(이자만 갚는 기간)을 1년 이내로 설정할 수는 있으나 비거치식·분할상환이 원칙이다.

주택 대출때 소득 심사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등 연간 소비액등으로 추정했지만, 앞으로는 원천징수영수증 등 객관적 소득 자료를 증빙해야 한다.

향후 금리 인상을 미리 대비해 대출 규모도 조정된다. 상승가능금리는 앞으로 금리 변동에 따라 원리금 상환 부담을 미리 계산하는 것이다. 만약 금리 인상이 예상되면 실질적인 대출액이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이는 은행에선 참고용으로만 쓰인다.

특히 최근 대체로 고정금리를 권장하고 있어 향후 금리 상승에 따른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출 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은 이날부터 수도권 은행이 신규로 취급하는 가계 주택담보대출이 대상이다. 비수도권은 5월2일부터 적용된다.

이번 주택대출 심사 강화 가이드라인 대상자는 △주택구입 자금용 대출 △고부담 대출 △주택담보대출 담보물건이 해당 건 포함 3건 이상인 경우 △소득산정 시 신고소득을 적용한 대출 등이 적용 대상자다.

고부담 대출의 기준은 주택담보인정비율(LTV)와 총부채상환비율(DTI)이다. LTV 또는 DTI가 60%를 초과하는 경우 고부담 대출에 해당된다. LTV가 60%를 초과해도 DTI가 30% 이하면 예외로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 최저가...‘5만 전자’ 위태
  • 고려아연, 유상증자 자진 철회…"신뢰 회복 위한 최선의 방안"
  • 재건축 추진만 28년째… 은마는 언제 달릴 수 있나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불허…“관련 법익 종합적 고려”
  • ‘음주 뺑소니’ 김호중 1심 징역 2년 6개월…“죄질 불량·무책임”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514,000
    • +1.42%
    • 이더리움
    • 4,506,000
    • -3.08%
    • 비트코인 캐시
    • 625,500
    • +0.81%
    • 리플
    • 971
    • -7.08%
    • 솔라나
    • 300,200
    • -0.4%
    • 에이다
    • 816
    • -0.73%
    • 이오스
    • 769
    • -4.94%
    • 트론
    • 249
    • -5.68%
    • 스텔라루멘
    • 175
    • -9.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600
    • +12.1%
    • 체인링크
    • 19,110
    • -4.45%
    • 샌드박스
    • 403
    • -3.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