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이 판결을 내렸다고 해서 그걸로 끝나야 하나.”
다소 전복(顚覆)적으로 들리는 이 발언은 어느 길 위의 농성장이 아니라, 서울 광화문 정부청사의 브리핑룸에서 터져 나왔다. 20일 금융행정혁신위원회가 금융위에 대한 최종 권고안을 발표하던 자리였다. 윤석헌 위원장이 전체 발표를 진행하던 중 제4분과장인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수가
‘MB의 비용’에 따르면 볼레오 사업은 천문학적인 투자가 이루어졌음에도 계속적인 사업비 증가로 완공이 늦어지면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 참가한 민간기업들은 투자금을 날릴 것을 우려해 지분 매각을 고려하고 있고 광물공사의 광산 운영능력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다.
그럼 이 사업으로 얼마나 손해 본 것일까? 2014년 광물자원공사가 대
10% 지분투자에 불과한 광물공사가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MB의 비용’은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볼레오 사업이 부도날 경우 입게 되는 약 1837억원의 손실이 문제되기는 했지만 핵심요인은 아닌 것 같다. 추가 투자 규모가 너무 컸기 때문이다. 최초 계획만으로도 약 4832억원이라는 거액이었고, 이게 차질을 빚으면서 부담하게 된 자금
광물공사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 멕시코 볼레오 구리광산 개발사업(볼레오 사업)의 인수과정에서 김신종 사장이 사실상 경영권을 상실한 바하마이닝과 지분 인수 계약을 맺는 과정에서 광물공사 이사회의 승인도, KBC 민간 주주사의 승인도 없이 김 사장이 독단적으로 벌였다고 ‘MB의 비용’은 썼다.
이에 따르면 공사와 민간 주주사들이 체결한 KBC의 주주 간 약정
광물공사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 멕시코 볼레오 구리광산 개발사업(볼레오 사업)은 정상화되었을까?
3일 출간된 ‘MB의 비용’을 보면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광산운영 회사인 MMB는 그 후로도 2년 가까이 부도상황을 면하지 못했고 대주단과 한 달 미만의 초단기의 부도유예 계약을 열 차례나 맺으며 겨우 목숨을 연명해야 했다.
천문학적 자금을 투
지난 3일 출간된 ‘MB의 비용’에 따르면 광물공사 김신종 사장이 바하마이닝이 체결한 계약 내용은 구체적으로 1단계로 9000만 달러를 납입해 MMB 주식 21%를 바하마이닝으로부터 인수하고, 2단계로 4억4600만 달러를 납입해 MMB 주식 39%를 인수한다는 것이었다. 총 증액사업비는 약 6040억원이었다. 지분 10%에 불과한 공사가 사실상 부도난 사
[MB의 비용] “부도난 사업에 무모한 투자, 멕시코 볼레오 구리광산 인수”
지난 3일 출간된 ‘MB의 비용’은 광물자원공사의 멕시코 볼레오 구리광산 인수가 사업 성패보다 정치적 상황을 우선 고려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르면 멕시코 볼레오 구리광산 개발사업(이하 볼레오 사업)은 광물자원공사가 벌인 대표적인 해외자원개발 사업으로, 공사의
김대중 정부 때 터진 그 유명 ‘최규선 게이트’의 장본인인 최규선이 MB정부에서 다시 등장한다. 쿠르드 유전 개발에 그의 국제적 인맥을 활용한 의혹이 있다고 ‘MB의 비용’은 지적한다.
이라크 쿠르드 지역 유전개발 사업에 석유공사는 민간기업과 컨소시엄을 형성해 참여했다. 이 민간기업들 중 하나가 ‘유아이에너지’로 이 회사의 회장이 바로 최규선이다.
“설립 1년도 안된 회사, 자원개발 경험이 전혀 없던 회사, KMDC라는 자본금 16억원이 전부인 영세기업이 1조원 규모의 미얀마 해상광구 개발 사업권을 따냈다.”
지난 3일 출간된 ‘MB의 비용’은 이 사업을 두고 “구린내 난다”고 지적했다.
2010년 12월. 박영준 전 차관은 미얀마를 방문, 해상광구 개발을 위한 미얀마 측의 협조를 이끌어냈다.
지난 3일 출간된 ‘MB의 비용’은 자원외교가 MB정부의 대표적인 브랜드였지만, 실제로는 정권실세들이 주도한 정치적 이벤트나 다름없었다고 적나라하게 비판했다.
MB정부는 출범 초부터 자원외교를 외교정책의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해외자원 확보에 적극 나서는 등 전면에 내세웠다. 한승수 초대 총리를 ‘자원외교 총리’라 명명했을 정도였다. 한 전 총리는 수시로 해
지난 3일 출간된 ‘MB의 비용’은 2009년 한국석유공사의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였던 캐나다 하베스트 에너지(이하 하베스트) 인수 방법도 의혹투성이였다고 썼다.
내용을 보면 당시 하베스트는 미국과 캐나다 증권시장에 상장돼 있는 회사였기 때문에 적대적 M&A를 할 경우 운이 좋다면 600억원만 투자해도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회사였다. 그런데 석유공사는
“사실상 깡통기업을 인수하면서도 기초적인 정보 확인이나 현장실사도 없이 하베스트 측 자료만을 바탕으로 자산평가도 졸속으로 마무리한 채 성급히 계약을 해 천문학적인 국민 혈세 낭비를 초래했다.” 2013년 10월24일 국회 산업통산자원위원회 국정감사장 새누리당 이현재 의원.
2009년 한국석유공사의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였던 캐나다 하베스트 에너지(이하 하
2013년 10월24일 국회 산업통산자원위원회 국정감사장. 한국석유공사의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였던 캐나다 하베스트 에너지(이하 하베스트) 인수 사업을 둘러싸고 날 선 공방이 이뤄지고 있었다.
MB정부가 “석유공사 대형화 사업의 상징”이라며 그렇게 선전하고 홍보했던 하베스트 사업이 사실은 거대한 부실덩어리라는 사실이 하나씩 드러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손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책을 분석해 경제적 피해와 권력형 비리, 언론 장악, 남북관계 경색 등 실정을 고발한 책이 발간됐다. 이 전 대통령이 자신에 대한 비판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오히려 질타하는 내용의 회고록을 공개해 신·구 정권 간 갈등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MB의 비용’의 저술에는 유종일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강병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이 내달 2일 출간될 예정인 가운데 이 전 대통령의 실정을 조명하는 책 ‘MB의 비용’도 출간을 앞두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종일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강병구 참여연대 조세재정개혁센터 소장,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박선아 변호사, 최상재 SBS 프로듀서 등 16인의 전문가들이 썼다.
저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