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주의 파고가 거세게 일고 있는 가운데 중장기 통상 청사진을 담은 ‘신(新)통상로드맵’이 차기 정부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대통령 선거를 불과 한 달 남짓 남겨둔 시점에서 통상 정책에 대한 방향키를 사실상 차기 정부로 넘겨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 인선이 아직 마무리되지 못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당초 산업통상자
미국 트럼프정부 출범과 브렉시트 등으로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살아 남으려면 통상조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우태희 2차관 주재로 통상정책포럼을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1일 개최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신(新)통상로드맵’ 보완 등 통상정책 방향에 대해 민간 경제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등장 이후 전 세계 통상정책 패러다임이 다자간 무역협정인 메가 자유무역협정(FTA)이 쇠퇴하자 정부가 개별 국가ㆍ개별 경제권과 FTA 신시장을 창출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정부는 26일 발표한 '2017년 대외경제정책방향'에서 통상전략을 세계교역 위축, 통상마찰 확산 등 통상환경 변화를 반영해 2013년 수립된 신통상 로드맵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타결됨에 따라 향후 정부의 메가(Mega)-FTA 정책방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김학도 통상교섭실장은 7일 기자들과 만나 “이미 신(新)통상로드맵, FTA 추진전략에서 말했듯 향후 TPP는 국익 극대화 차원에서 신중하게 대응하는 한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은 물론 한중일 FTA 등 우리
산업통상자원부가 25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업무계획의 골자는 중소·중견기업 지원, 공정거래 질서 확립 등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박 대통령이 강조하고 있는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 국정과제와도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협력 생태계 조성…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 산업부는 올해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