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여성 총 취업자 1216만명…실업률은 3.1%산업별 여성 취업자…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가장 많아정규직 여성 근로자 월임금 320만 원…남성보다 120만 원 적어
지난해 기준 여성 취업자는 총 121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여성 고용률은 52.9%로 10년 전인 2012년(48.6%) 대비 4.3% 상승했다. 정규직 여성 근로자 월
리더스인덱스 조사, 작년 임원 증가율 9.9%, 직원 2.5% 정규직 0.2% 늘때 비정규직 40% 증가…고용의 질 악화
주요 대기업의 임원 수가 직원 수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비정규직 수가 크게 늘어 고용의 질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2023년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334개 기업들의 임직원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점차 완화하고, 회식과 단합대회가 늘어나면서 직장 내 괴롭힘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3일 시민단체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지된 3월 조사에서 직장 내 괴롭힘을 1년 이내 경험한 비율은 23.5%였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지난달 조사에서는 이 수치가 2
직장인 10명 중 1명 정도만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직무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하 고학력 정규직 남성의 기술활용도가 다른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3개 직업 재직자 1012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8개를 실제 업무에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
최근 10년새 남성 정규직 대비 여성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11일 한국노총이 '여성노동의 비정규직화,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 발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성 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을
정부와 기업이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해 무진 애를 쓰는 듯 비치지만,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이 느끼는 체감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 특히, 취업 경험이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 어떻게든 일자리를 잡고 싶은데도 이런 행운을 누리는 건 말 그대로 ‘하늘의 별 따기’다. 설령, 재취업이란 지난한 작업에 성공하더라도 저임금이나 근무환경이 열악한 일자리에서 벗어날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근로자가 일·가정, 일·학습 등을 병행할 수 있도록 사업주와 협의해 근로시간, 업무 시작과 종료 시간 등 근로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일자리를 의미한다.
최저임금 등 기본적인 근로조건이 보장되고, 임금과 복리후생 등에서 전일제 근로자와 불합리한 차별이 없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마련된 것이다.
이를 도입할 경우 정부는 임신, 출산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일자리 늘리기만 급급하면서 생산성과 고용의 질 모두 놓치고 있는 양상이다. 특히 정부가 올해 초단기 근로제 도입을 검토하면서 이같은 추세는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3년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2001~2007년 연평균 취업자는 32만5000명에서 39만명으로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연평균 4.9%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정규직과의 임금격차가 꼽히고 있다. 임금격차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면 정부의 ‘고용률 70% 달성’ 목표를 위한 시간제 일자리 확대는 고용의 질은 떨어뜨리고 양만 늘리는 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은수미 민주당 의원이 한국노동연구원 장지연 선임연구원에 의뢰해 받은 ‘시간제 일자리 확대의 문
정부가 2017년까지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93만개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 발표와 함께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일제히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계획을 쏟아내기에 바빴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에 가장 먼저 나선 곳은 롯데, 신세계, CJ 등 유통 대기업이다. 이들 기업은 지난해 11월 시간제 일자리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대기업의 남녀고용 격차가 5인 이상 전체 사업장에 비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김제남 의원(정의당, 여성가족위원회)이 106회 세계 여성의 날을 맞이하여, 1000명 이상 상장기업의 공시자료(조사대상 181개 대기업, 2012년 기준, 입수 가능한 최신자료)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대기업은 남녀 고용, 임금, 근속연수에서 남녀 간 큰 격차를 보였
‘고용률 70% 달성’은 박근혜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1년간 고용 취약계층인 경력단절 여성, 청년, 중장년층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근로시간 단축, 일·학습 병행제도 등은 정부가 한국 고용시장의 체질적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며 내놓은 정책들이다.
지표상으로는 지난해 일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시간제 일자리’ 정책이 여성을 중심으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저임금 위반과 사회안전망에 취약 등 근로 조건은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은수미 의원이 28일 한국노동연구원 장지연 박사에게 의뢰해 제출받은 ‘시간제 일자리 확대의 문제점 : 고용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용
직장내 남녀 성별·고용형태에 따른 따른 임금차별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은 남성 정규직의 52.4%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김태홍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17일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의 시간급은 9085원으로 남성 정규직 17329원의 52.4%에 불과했다. 여성 정규직 근로자
초근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여성인력을 활용함에 있어 인위적인 고용평등 정책보다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 게 더욱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조석래)는 14일 '대기업 인력구조 및 여성인력 현황' 보고서를 통해 "여성련은 매출 성과가 높은 기업일수록 여성근로자의 급여수준이 높고 근속연수가 길다"고 지적하고 "한정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