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계절 변화가 뚜렷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식물도 이런 환경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것은 사람과 매한가지이다. 온대식물은 가을이 돼 기온이 떨어지고 해가 짧아지면 곧 겨울이 다가옴을 알아차린다. 스스로 체내의 생리적 리듬을 조절해 겨울을 대비한다. 이때 낮과 밤의 심한 일교차가 식물체의 휴면을 더욱 부채질한다. 그러므로 온대식물의 가을은 아름다운 꽃을 피우며 왕성히 생장하는 계절이라기보다 열매를 키우고 노화에 들어가는 시기이다.
가을의 문턱인 9월과 10월 초에는 꽃을 보기가 참 애매한 시기이다. 주변을 둘러보면 꽃이 피어있는 식물은 거의 보이지 않고 풋내 나는 열매가 더 많이 보일 뿐이다. 아직 본격적인 가을꽃이 피기에는 이른 계절이고 때늦은 여름꽃이 지금까지 남아있지도 않다.
생기 넘치던 봄은 물론 그렇게 뜨겁던 한여름에도 화려하게 꽃을 피웠던 수많은 꽃들은 모두 지고 말았다. 그러나 여름부터 가을까지 길고 긴 날을 횃불 모양의 붉은 꽃이 오래도록 피고 지는 식물이 있다. 무려 “백일(百日)에 걸쳐 꽃이 피는 나무”라는 의미의 ‘배롱나무’이다.
배롱나무는 ‘백일홍나무’ 또는 ‘목백일홍’이라 하기도 한다. 장마가 끝날 때 즈음부터 꽃이 피기 시작해 여름철 더위와 땡볕도 아랑곳하지 않고 초가을에 이르도록 지속적으로 꽃이 핀다. 붉은 배롱나무 꽃이 지고 열매가 맺히기 시작하면 비로소 서리가 오고 가을이 무르익었음을 깨닫게 된다. 정녕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는 말을 무색하게 하는 식물이다. 배롱나무 꽃은 장미나 백합처럼 화려하거나 향기롭지 않지만 단순하고 수수한 모양과 색깔이 더욱 정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므로 이제까지 발표된 수많은 문학작품 속에서 가식없는 사랑과 굳건한 의지를 상징하는 식물로 등장한다. 조선시대 강희안이 지은 양화소록(養花小錄)에는 배롱나무 꽃의 품격을 높이 평가해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 가운데 6등급으로 기록했다. 배롱나무는 화단이나 길가에 많이 심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풀인 백일홍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배롱나무와 구분하기 위해 초본인 백일홍은 ‘초(草)백일홍’ 또는 ‘백일초’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배롱나무는 충절과 청렴을 상징하는 신성한 나무로 여겨졌다. 신라시대 설총이 방탕한 신문왕을 깨우치기 위해 들려주었다는 화왕계(花王戒)에 배롱나무는 충성심 깊은 신하로 묘사됐다. 또한 사찰을 비롯해 서원이나 서당의 정원에 심어 신성함을 나타내기도 했다. 줄기차게 이어지는 긴 개화기간은 영원한 생명을 염원하는 의미로 무덤가에 많이 식재하는 식물이기도 하다. 부산에 있는 동래 정(鄭)씨 시조 묘의 양옆에 식재된 수령 800년에 이르는 천연기념물 168호 배롱나무가 대표적이다. 배롱나무의 꽃말은 ‘떠나는 벗을 그리워하다’로 알려져 있다. 그리운 임을 저 세상으로 떠나보내고 보고 싶고 그리운 마음을 배롱나무로 나타내었는지 모른다.
오늘날의 현대사회는 속도와 변화를 생명으로 하는 디지털 문화로 그려지고 있다. 현대 디지털 사회의 패러다임은 숨 가쁘게 빠른 급진적 변화를 추구한다. 그러므로 현대인의 의식구조는 상호간의 이해를 통한 인간 본연의 소통과 느림에 의한 깊은 사고가 무시되고 있다. 그만큼 사회 곳곳에서 불신과 오해가 팽배해 공동체의 유대감이 무너지고 있다. 예전에 비해 우리의 삶은 더욱 편리해지고 풍요로움을 누리게 됐지만 현대인의 인간성 상실과 도덕적 가치의 혼돈이 문제가 되고 있다.
올해도 눈에 잘 띄지 않는 정원 한구석에서 배롱나무는 어김없이 꽃을 피우고 있다. 수많은 종류의 꽃 가운데 유독 배롱나무는 화려함, 빠름 등과는 거리가 먼 꽃으로 인식되고 있다. 묵묵히 날씨가 더워지기를 기다렸다가 긴 기간 동안 느긋하고 지속적으로 꽃을 피운다. 소박하게 핀 배롱나무 꽃을 바라보면서 새삼스럽게 느림과 인내를 되새겨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