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장관은 임명장에 잉크를 묻힌 지 하루 만에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현장 점검에 나서는가 하면, 이후로도 계속되는 현장 방문과 정책 발표를 감행하는 등 단 1분도 쉴 겨를이 없었던 것 같다.
이는 최문기 전 장관 취임 직후 일정보다 더 빡빡하다. 최 전 장관은 임명장을 수여 받은 이후 최소 5일간의 숨고르기 시간은 가졌던 것 같다.
최 장관이 이처럼 발빠른 행보를 자처한 것은 아마 논란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큰 문제 없이 장관 자리에 오른 점을 의식했을 뿐 아니라, 이미 추락할 대로 내려앉은 미래부에 대한 이미지를 하루 빨리 정상화시키려는 의도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 미래부는 출범 당시 ‘창조경제’를 강조하는 박근혜 정부의 주무부처 노릇을 할 것으로 기대됐지만 사실상 ‘용두사미’ 격이 돼버린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미래부 수장으로 오른 최 장관의 어깨는 상당히 무거울 것이요,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최 장관은 취임과 동시에 “‘창의와 도전’의 창조경제가 확산되도록 하기 위해 경쟁력 갖춘 인재와 유능한 스타트업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하며 미래부의 근간인 창조경제 실천을 약속했다.
실제 가장 먼저 방문한 현장 역시 판교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현장이었다. 또 창조경제 실천의 또 다른 방안으로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 구현'을 꼽기도 했다.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융합을 통한 창조경제 역동성 제고도 강조했다.
하지만 최 장관의 이 같은 발빠른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점이 하나 있다.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속도보다는 소통과 공감일 것이라는 점이다.
SW 중심 교육 강화 발표를 일례로 들어보자. 이에 대해 한 교육업계 종사자는 “SW를 가르칠 수 있는 전담교사가 태부족인 현실에서 이 같은 정책은 오히려 사교육을 더 부추길 수 있다”며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이라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분야별 융합도 중요하지만 미래부가 방통위와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던 일부 부서를 모아 만든 부처라는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조직의 융합과 역할 분담이 더 시급한 문제인 것 같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최 장관은 지금 국민들이 원하는 목소리에 귀기울기 보다, 미래부의 모토인 ‘창조경제’ 개념 자체에 매몰돼 이를 너무 의식한 게 아니냐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미래부 출범 1년 3개월이 지났지만 아직 창조경제에 대한 실체도 뚜렷하지 않다. 그럼에도 최 장관은 이 같이 추상적인 개념을 제대로 실현해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물론 발로 뛰어다니며 현장을 찾는 노력은 좋다. 하지만 이왕 노력하는 것, 천천히 가도 좋으니 단기 성과에 집착하기 보다는 국민들이 보다 공감할 수 있는 방안들을 보여주면 어떨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