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차세대 전자정부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동시에 클라우드 시장활성화를 통해 관련 관련산업 중흥을 꾀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안전행정부와 추진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개발사업 착수보고회를 갖고 본격가동했다고 16일 밝혔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전자정부시스템의 기반환경(SW)과 로그인 기능, 게시판 기능 등 229개의 공통컴포넌트(SW)로 구성된다. 이를 활용할 경우 개발비용 절감, 비표준기술의 사용에 따른 특정업체 종속 해소, 시스템간 상호운영성 제고 등의 효과가 있다고 미래부 측은 전했다.
이번 연구개발은 플랫폼의 추진기간은 ‘2014년도 기술설계(ISP)’를 거쳐 오는 16년까지 3년 동안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서 클라우드 전문 중소기업들과 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개방형 플랫폼 구축에는 그간 전자정부시스템의 구축·운영 표준으로 정착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가 기반이 되고 국내외에서 검증된 공개SW들이 활용된다.
행정·공공기관은 플랫폼 기반으로 전자정부시스템을 구축하면 비용·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고, 전자정부가 특정기술에 종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시스템과 데이터의 통합성과 상호운영성이 높아져 기관간·공무원간 온라인 소통협업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은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IT 기술과 그 응용서비스들이 동작하고 융합되는 기반이 되는 플랫폼 시장에 이미 뛰어들어 클라우드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다. 반면 국내기업들은 아직 걸음마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번 전자정부 기술개발을 발판으로 정부와 기업들의 중장기적인 협력이 강화되면 국내업체들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미래창조과학부 윤종록 차관은 “IT 생태계와 미래 산업의 핵심인 클라우드 플랫폼을 우리나라가 주도함으로써, 창조경제 실현의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