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분양 물량, 2008년 이후 최대치

입력 2013-11-06 1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0월 분양 물량이 2008년 조사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10월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일반분양 가구수는 64곳 4만9857가구로 2008년 조사 이후 월별 최대 분양 물량이었던 2011년 10월 4만169가구를 크게 뛰어 넘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만4727가구가 공급된 것과 비교해 2배가 넘는 수준(2만5130가구 증가)이다. 10월 분양물량이 급증한 이유는 지난 9월 추석 연휴 영향으로 분양이 대거 10월로 미뤄졌고 연말까지 양도세 면제 혜택이 종료됨에 따라 건설사들이 앞 다퉈 분양 물량을 쏟아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에서는 27곳 2만5494가구가 일반분양됐다. 지난해에 비해 사업장은 12곳이 늘고 일반분양 가구수도 1만6966가구 늘었다. 공급된 27곳 중 순위 내 마감된 사업장은 11곳으로 지난해에 1곳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10곳이 증가했다.

공급 물량 중에는 서울 강남구 ‘세곡2지구1단지’, 중구 ‘덕수궁 롯데캐슬’, 위례신도시 ‘송파 와이즈 더샵’, 경기 하남미사보금자리 ‘A12·A16블록(분납임대)’이 1순위 마감됐다. 그러나 그동안 나오는 물량마다 1순위 마감을 하며 인기가 높았던 내곡지구에서는 1단지 국민주택(전용면적 59~84㎡)이 1순위 마감됐지만 민영주택(전용면적 101~114㎡)의 경우 순위 내 마감에 실패하면서 뜻밖의 결과를 낳았다.

지방에서는 37곳 2만4363가구가 공급됐다. 지난해에 비해 사업장은 6곳이 늘고 일반분양 가구수는 8164가구 늘어났다. 공급된 37곳 중 순위 내 마감된 사업장은 13곳으로 전년에 비해 3곳이 늘었다.

지방에서는 대구 ‘월배2차 아이파크’, 부산 ‘해운대 경동하나메르빌’, 충남 ‘천안 불당 지웰푸르지오’, 경남 ‘양덕 코오롱하늘채’가 1순위 마감됐다.

한편 11월 분양시장에도 서울 강남 재건축, 위례신도시, 송도국제도시, 지방 혁신도시 등 관심 물량이 쏟아질 예정이고 5년간 양도세 면제 혜택을 받기 위해 수요자들도 분양시장에 큰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동산 PF 체질 개선 나선다…PF 자기자본비율 상향·사업성 평가 강화 [종합]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삼성전자, 4년5개월 만에 ‘4만전자’로…시총 300조도 깨져
  • 전기차 수준 더 높아졌다…상품성으로 캐즘 정면돌파 [2024 스마트EV]
  • 낮은 금리로 보증금과 월세 대출,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십분청년백서]
  • [종합] ‘공직선거법 위반’ 김혜경 벌금 150만원…法 “공정성·투명성 해할 위험”
  • 이혼에 안타까운 사망까지...올해도 연예계 뒤흔든 '11월 괴담' [이슈크래커]
  •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제일 빠를 때죠" 83세 임태수 할머니의 수능 도전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973,000
    • +4.08%
    • 이더리움
    • 4,541,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619,500
    • +5.81%
    • 리플
    • 1,021
    • +6.8%
    • 솔라나
    • 308,300
    • +4.4%
    • 에이다
    • 806
    • +5.77%
    • 이오스
    • 770
    • +0.39%
    • 트론
    • 258
    • +3.2%
    • 스텔라루멘
    • 178
    • +0.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000
    • +19%
    • 체인링크
    • 18,920
    • -1.1%
    • 샌드박스
    • 399
    • -0.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