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권에 따르면 8일 기준으로 달러당 원화는 4.90% 상승했다. 원화 가치가 상승한 만큼 원·달러 환율은 하락해 달러당 1100원을 밑돌았다.
이 같은 원화가치 상승폭은 다른 국가 통화와 비교해서 월등히 높은 편이다.
실제로 30개국 가운데 자국 통화 가치가 1% 넘게 상승한 7개국 중 루마니아(2.59%), 말레이시아(2.58%), 대만(1.78%), 영국(1.49%), 캐나다(1.22%), 필리핀(1.08%) 등 대부분이 한국에 비해 낮은 편이다.
최근 한 달의 원화가치 상승률과 변동폭은 과거에 견줘서도 큰 편이다. 올 들어 원화가치는 1월에 1.71% 하락하고 2월에 1.32% 상승한 뒤 3월에는 2.49% 다시 하락했다.
이같은 추세 속에 일본이 대대적인 양적완화 정책으로 엔저를 유도하면서 원·엔 재정환율이 4년8개월 만에 100엔당 1100원이 무너졌다. 문제는 앞으로 원고·엔저 현상이 더 심해져 원화가치 상승과 금리 차익을 노린 '핫머니(단기 투기성 자금)'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우리나라 채권에 2조1360억원을 순투자, 외국인 채권 보유액이 3개월 연속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본 거액 자산가와 기관이 자국에서 저금리로 돈을 조달, 우리나라에 쏟아붓는 '엔캐리(Yen-Carry)' 거래가 늘어날 조짐도 보인다. 특히 엔캐리가 확대될 경우 차후 거래 청산시 엔화대출 기업의 환차손이 우려된다.
국내로의 자금 유입에 따른 원화가치 상승보다 더 우려해야 하는 것은 '서든 스톱'(sudden stop·갑작스러운 자금 유입 중단)과 자금 유출이라는 견해도 있다.
앞다퉈 양적완화에 나선 선진국들이 '출구전략'에 돌입할 경우 외환시장의 기능이 마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환율이 실물과 괴리된 상황에서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며 "당장 수출에 미칠 악영향보다 훨씬 큰 재앙"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급격한 자본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외환규제 3종세트'로도 한계가 있다며 외환거래세 등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