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1기 내각을 구성할 18명의 총리 및 장관 내정자 가운데 수십억원에서 수천억원대까지 고액 자산가들이 포진해 있다. 특히 이들 중 일부는 투기 등 편법으로 재산을 불린 의혹이 있어 향후 인사청문회에서 재산 형성 과정이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사람은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다. 김 장관 내정자는 세계적인 정보통신(IT) 전문가로 1974년 14세 때 미국 이민을 떠나 1992년 영상·데이터 전송장비 전문업체인 유리시스템즈를 창업해 한국인 벤처신화를 이뤄냈다.
1998년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미국 400대 갑부’에 꼽히기도 한 김 내정자의 재산은 5억6000만 달러(당시 환율 기준 7800억원)으로 평가됐다.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내정자가 51억70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조 장관 내정자는 1998년 구매한 인천 부평 땅이 2006년 주택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돼 땅값이 2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호텔 헬스클럽 회원권을 3개 보유하고 있는데 조 내정자는 이와 관련, “회원권 2개는 배우자가 매입해 시부모가 사용하던 것”이라고 했다.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36억84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중 서울시 강남구 대치1동의 동부센트레빌 아파트(15억6000만원)와 가족의 예금(16억1682만원) 중 10억2528만원 등 대부분이 부인 명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 명의로 돼 있는 재산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 1가에 있는 오피스텔(1억2431만원) 등이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의 경우 공직에서 물러난 뒤 재산이 27억원이나 급증해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현 내정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인 명의의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15억9200만원)는 현재 재건축이 추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인 명의인 경기 성남 분당구 정자동 파크뷰아파트(12억4000만원)는 과거 특혜 분양 시비와 함께 가격이 급등했던 곳으로 나타나 ‘투기지역 재테크’ 논란도 일고 있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내정자의 재산 증식 과정도 논란거리다. 그는 퇴임 후 17개월 만에 재산이 12억원이나 증가한 사실이 밝혀졌다. 또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내정자는 경남 김해시에 밭 3필지(9380만원)를 갖고 있어 농지법 위반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오는 20일 첫 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정홍원 국무총리 내정자도 위장전입과 부동산 투기 의혹, 재산 증식 문제 등이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