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 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24일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인수위원들이 내각에 얼마나 참여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당선인은 책임총리제를 공약으로 내세우며 국무총리의 ‘국무위원 임명 제청권(국무총리가 대통령에게 국무위원을 임명해 달라고 요청하는 권한)’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내각 인선에 있어 총리의 입김이 세지게 된 만큼 인수위에서 함께 손발을 맞춰 온 인수위원들의 동반 입각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정책의 연속성과 새 정부 출범 초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서라면 정부 부처의 현안과 업무를 보고 받고 대선 공약 이행 의지를 함께 다져온 인수위원들이 적극 중용될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사실상 이번 인수위에서는 인수위원들의 정부 요직 입각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점쳐져 왔다. 김 지명자가 지난달 31일 인수위원 명단을 발표하면서 “인수위 활동이 끝나면 인수위원이나 전문위원 등은 각자의 업무로 복귀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천명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지명자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인수위 출신은 정부에 가지 않는다는 입장이 달라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인수위에서 일했던 사람이라고 해서 꼭 정부로 가는 것은 아니다는 취지로 말했기 때문에 인수위에서 일하던 사람이 정부에 전혀 안 간다는 뜻은 아니었다고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수위원이라고 해서 청와대나 내각 인선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과거 정부에서도 인수위원들이 대다수 정부 요직에 기용되는 경우는 적지 않았다. 김대중 정부 인수위원장을 맡았던 4선의 이종찬 전 의원은 초대 국가정보원장을 맡으며 노무현 정부 인수위의 김진표 부위원장은 경제부총리와 교육부총리를 지냈다.
이명박 정부의 경우에도 인수위의 경제1분과의 강만수 간사와 박재완 위원은 기획재정부 장관을, 사회교육문화분과의 유인촌 자문위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정무위원회의 남주홍 인수위원은 통일부 장관을, 또 맹형규 간사는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다.
한편, 새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가 내정됨에 따라 내각 인선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 당선인은 이날 총리 지명에 이어 조만간 국회에 총리 인사청문요청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장관 후보자 임명동의 요청안은 국회 제출 이후 15일 이내에 실시돼야 한다. 이 같은 일정을 감안하면 다음달 25일 대통령 취임 전 인선을 완료하기 위해선 늦어도 다음 달 10일께는 조각 작업이 마무리되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