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IPO에 성공한 기업은 총 28 곳. 금액으로는 1조73억원에 그쳤다. 시장별로는 지난해 16개 기업이 상장했던 유가증권시장 상장 건수가 반토막났다. 코스닥 시장은 지난해(58건)의 37.5%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상장 기업 수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상장된 기업은 45 곳 이었다.
그마저도 1000억원 이상 중대형 IPO는 휴비스와 CJ헬로비전 단 2건뿐 이었다. 현대오일뱅크, LG실트론, 산은금융지주, 미래에셋생명은 IPO를 연기하거나 보류했다. 최근에 IPO에 도전한 포스코특수강은 낮은 공모가격 때문에 상장을 철회했다.
투자 분위기 역시 차가웠다. CJ헬로비전의 공모 청약률은 0.26대1, AJ렌터카 역시 0.23대1에 불과했다.
이처럼 IPO시장이 경직된 이유는 글로벌 경기가 침체되면서 실적악화로 인한 기업가치가 크게 훼손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주식시장 침체로 비교대상인 동종업계 상장회사들의 주가가 하락할 경우 이자지급전이익(EBITDA)과 주가순자산비율(PBR) 등 비교지표도 떨어져 기업가치가 저평가된다는 점도 이유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내년에도 좀처럼 IPO시장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미국의 재정절벽 이슈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우리나라의 수출경기 침체와 가계부채 등으로 내수도 부진할 것으로 예상돼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 큰 회복세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한 이처럼 IPO 시장이 침체될 경우 성장성 있는 기업들이 도태되는 등 악순환 구조로 갈 우려가 크다. IPO시장의 침체로 인한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 기회 상실은 부가가치의 50%, 고용인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져 우리경제 전반과 고용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 벤처금융의 자금회수 기회가 감소되므로 벤처산업을 육성하는 자금순환 기능도 상실되게 된다.
때문에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들은 IPO 활성화를 위한 각종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금융위는 한국거래소와 함께 주식시장 진입장벽을 낮춰 더 많은 기업들이 증시에 입성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먼저 금융위는 성장성이 높은 유망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당기순이익 10억원 이상, 매출액 50억원이나 시가총액 300억원 이상으로 돼 있는 코스닥시장 상장 요건 적용을 면제해 증시 진입 문턱을 낮춰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코스닥시장의 유·무상증자 제한 규정과 공시의무를 완화해주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으며 난관에 봉착한 코넥스의 보완 방안 역시 추진할 방침이다.
한국거래소도 성장성 높은 중소기업과 우량 기술기업의 시장진입 요건을 개선할 계획을 추진중이다.또 앞으로도 성장형 기업은 미래에 중점을 둔 심사로 가능성 있는 기업이 더 많이 상장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상장을 주선하는 증권회사 역시 충분한 기업실사를 통해 기술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이 확인되면 당해 기업의 일시적 실적 부진에 연연하지 말고 IPO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