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부문에서 부실화할 위험이 있는 기업이 부도를 낼 경우 금융권 전반에 미칠 영향은 9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1일 이 같은 내용의 ‘건설부문 재무안정성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기준 부실위험 기업은 전체 건설부문의 10%(202개)였다.
부실위험 기업은 △자본잠식이거나 부채비율이 500% 초과 △영업적자이거나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 △총부채 중 단기차입의 비중이 60% 초과 등 세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기업이다.
부실위험 기업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50개를 넘었다가 최근 소폭 줄었다.
부문별로는 부동산공급업(시행사)이 144개, 건설업(시공사)이 58개로 부동산공급업이 훨씬 취약했다.
부실위험기업의 부채는 모두 13조원이었으며 부동산공급업이 72.3%(9조4000억원)를 차지했다.
지난해 기준 부동산공급업의 절반 이상은 자본잠식 상태였다. 이들의 부채비율은 -400% 수준이었으며 부채규모는 70조원을 넘었다.
김 연구위원은 “건설업의 부도 후 채권회수율(2001~2007년 평균)이 30%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부실위험기업의 부도가 현실화된다면 금융권 전반에 9조원 가량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건설부문의 위험이 부동산공급업에 집중돼 있다”며 “부동산공급업의 부실이 건설업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집단대출에 따른 재무위험이 가계부문의 부실로 전이될 가능성도 점검하라고 제안했다.
건설부문 수요측의 재무위험인 집단대출 규모는 7월 현재 100조원을 웃돌며 연체율은 작년 1월 1.03%에서 지난 7월 1.72%로 올랐다.
또 정부의 사회기반시설(SOC) 투자 등이 감소하면 공공부문이 건설경기를 견인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건설투자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 경제가 성숙기에 접어든 만큼 선진국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2000년대 들어 비대해진 건설부문의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며 “공급 측면 전반에 걸친 강력한 구조조정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