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연구원이 한국형 헤지펀드의 성장을 위해서 시장 진입장벽이 대폭 낮출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종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14일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형 헤지펀드 컨퍼런스에서 "시스템 리스크를 쇠초화하는 범위 내에서 운용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며 "운용업자의 진입 규제를 대폭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는 금융당국이 제시하는 자기자본, 수탁고 등의 요건을 충족한 자산운용사 13개사, 자문사 8개사, 증권사 10개사만 헤지펀드 시장에 참여할 수 있다.
김 연구위원은 "헤지펀드 시장 참여가 전체 자산운용사, 자문사, 증권사의 10% 정도에 한정돼 있다"며 "이는 운용의 자율성과 창의성에 기반한 다양한 유형의 펀드가 출시될 수 있는 가능성 제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취약한 국내 수요기반과 헤지펀드 인프라 등을 감안할 때 진입장벽을 낮추더라도 소규모 헤지펀드가 난립하거나 시스템리스크가 증가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또 헤지펀드 수요 확충을 위해 연기금 헤지펀드 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한국 헤지펀드 시장은 기관투자자 중심의 시장이 돼야 한다"한다며 "연기금의 투자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시장 규모의 성장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존 공모펀드 구축효과 최소화와 실사 및 위험관리 선진화 방안 마련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투자자보호를 위해 투자전략별 지수 생성 및 공개해야 하며 해외사례를 참조해 투자자에게 제공할 정보의 범위를 좀 더 명확하게 모범규준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