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계 제약사인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가 최근 사내 공고를 통해 희망퇴직자를 받기로 해 다국적 제약사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7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사노피아벤티스는 정부가 일괄약가인하 방안을 입안예고한 지난달 31일부터 ‘희망퇴직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사노피는 앞서 24일 사내 공고를 통해 이를 고시하고 오는 11일까지 희망자에 한해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는 중이다.
사노피아벤티스 관계자는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 제네릭의 특허 도전 등의 외부환경 리스크로 회사가 추구해야 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라 희망퇴직자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연령이나 직급, 직종에 관계 없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월기본급과 근속년수 두 배를 곱한 금액에 8개월치 급여를 더한 보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31일 보건복지부가 7500여개의 건강보험 적용 의약품 가격을 평균 14% 깎겠다고 발표하면서 제약업계는 매출 감소 만회를 위한 자구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다국적제약사도 예외는 아니다. 특허가 만료된 의약품 가격 역시 복제약과 함께 특허만료 전 오리지널약 가격의 53.55%로 일괄인하됨에 따라 적지 않은 손실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KRPIA)는 “이번 약가 인하로 수조원대의 매출 감소가 예상되면서 연구 중심 글로벌 기업들의 국내임상 투자 동력이 상실될 위기에 처해 있다”며 “제약업계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해 약가인하 정책을 점진적으로 시행하는 방향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사노피아벤티스 노조는 “약가인하를 계기로 퇴직 신청을 받는 것은 실질적인 정리해고”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국내 10개 다국적제약사노조가 속해 있는 한국화학노동조합연맹도 지난 1일 성명서를 통해 “약가제도 개편 이후 제약협회와 사용자가 처음으로 꺼낸 이야기가 정리해고였다”며 “정부의 약가인하를 빌미로 정리해고를 획책하거나 리베이트 등 방만한 경영에 대한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밝혔다.
사노피 이외에 몇몇 다국적제약 역시 급여삭감이나 감원 등 구조조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사노피발(發) 희망퇴직의 후폭풍이 어디까지 여파가 미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약가제도 영향으로 국내 8만 제약인 중 2만명이 정리해고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나오고 있어 다국적제약사 본사 차원에서도 판매 법인의 경영 효율성 증진을 위해서라도 충분히 구조조정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