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글로벌 투자자들의 눈이 동유럽에 쏠리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헝가리와 루마니아 등이 구제금융을 받는 등 심각한 위기를 겪었던 동유럽이 최근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리스를 비롯해 남·서유럽 주요국이 재정위기에 휘청거리고 있는 가운데 동유럽은 저렴한 인건비와 날로 성장하는 소비시장, 풍부한 천연자원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바탕으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동유럽 주요국의 경제 현황과 전망을 10회에 걸쳐 살펴본다)
<글 싣는 순서>
① 러시아, 세계 5위 경제대국 노린다
② 동유럽 경제 선두주자 폴란드
③ 체코·슬로바키아, 동유럽의 경제 강소국으로 부상
④ 헝가리, 동유럽 산업허브 노린다
⑤ 루마니아, 경제개혁으로 IMF 우등생으로 거듭 난다
⑥ 세르비아, 발칸반도 맹주 노린다
⑦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옛 유고 영화 살린다
⑧ 빈곤 탈출에 안간힘 쓰는 불가리아
⑨ 자원부국 우크라이나가 뜬다
⑩ 발트 3국, 부활 신호탄 쏘아올려
우크라이나가 풍부한 자연자원을 배경으로 동유럽 신흥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2000년대 들어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국내총생산(GDP)이 지난 2000년보다 무려 75%나 증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지난 2009년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15.1%로 급격히 떨어졌으나 지난해 4.2%, 올해 상반기 4.4%의 성장률을 각각 기록하면서 순조로운 경기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씨티그룹과 국제통화기금(IMF) 등 전문기관들은 우크라이나 경제가 올해 5%에 육박하는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세계 광물자원의 5% 이상이 우크라이나에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광산업이 우크라이나 전체 산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가 넘는다.
우크라이나는 구소련 시절부터 중공업 등 산업화의 진전으로 철강 생산은 세계 8위 규모이며 비료와 코크스, 황산 등 화학 산업도 발달해 있다.
방산업은 우크라이나의 주요 산업 중 하나다.
우크라이나는 세계 6위권의 무기 수출국으로 안토노프 AN-32 화물수송기와 수륙공기부양정 등 각종 군용기와 선박 등을 중국과 중동지역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농업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우크라이나 경작지는 유기물 함량이 높아 비옥한 토지의 대명사로 불리는 흑토지대가 대부분이어서 농업에 매우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해바라기유와 땅콩 생산이 세계 최대 수준이며 밀 등 각종 곡물과 설탕의 주요 수출국이다.
전문가들은 민영화 등을 통해 생산성을 개선할 경우 우크라이나 농업 생산규모가 지금의 4배 수준으로 뛸 것으로 보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2008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고 유럽연합(EU)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추진하는 등 시장 개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2004년 정권교체에 성공한 이른바 ‘오렌지혁명’이후 주요 경제파트너인 러시아와 지난 2008년 가스관 분쟁 등 갈등을 빚어왔으나 지난해 친러파인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러시아와의 관계가 개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무역의 2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우크라이나에서 사용하는 석유와 천연가스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양국의 관계 개선은 우크라이나 경제에 이득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는 4500여만명으로 유럽 5위에 해당하는 인구를 갖고 있어 내수시장 성장잠재력도 풍부하다는 평가다.
코카콜라와 프록터앤갬블(P&G) 등 글로벌 기업들이 현재 우크라이나 시장 공략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카콜라는 지난 1998년 우크라이나 수도인 키예프 인근에 병 공장을 설립하는 등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P&G는 우크라이나 현지 직원 수만 1700명이 넘으며 회사가 보유한 40여개의 국제적 브랜드를 우크라이나에 도입했다.
독일 최대 유통업체 메트로는 지난 2003년 키예프에 매장을 세워 우크라이나에 첫 진출한 이후 현재 매장 수가 13개로 늘어났다.
우크라이나가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관료들의 부정부패를 타파하고 투자관련 현재의 복잡하고 까다로운 법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지난달 “뇌물을 받거나 부정행위를 저지른 관료들에 대해서는 무자비한 처벌을 내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AFP통신은 최근 야노코비치 대통령의 엄포에도 불구하고 기업인들 사이에서는 지난해 정권이 교체된 후 관리들의 부정부패 행위가 더 심해졌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