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M&A vs 대한해운 한샘“부동산·자산 다 판다” [불안과 양극화]②

입력 2024-09-22 17: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9-22 17:1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10대그룹 주요상장사 현금성 자산(2분기 말 기준) (에프앤가이드)
▲10대그룹 주요상장사 현금성 자산(2분기 말 기준) (에프앤가이드)
롯데그룹은 ‘유동성 확보’에 총력을 쏟고 있다. 롯데쇼핑은 최근 인도 현지 법인 2개를 모두 청산했다. 롯데는 올해 상반기 중국 청두에서 운영하던 현지 법인을 매각했다. 롯데손해보험도 매물로 내놨다. 최근 우리금융지주가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상시 매각으로 전환했다.

대한해운은 재무구조 개선 및 유동성 확보를 위해 6308억 원 규모의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4척을 사우디아라비아 선주에게 양도하기로 했다. KB증권은 이번 매각을 통해 대한해운이 총 2697억 원 규모의 유형자산 처분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했다. 강성진·손민영 KB증권 연구원은 “매각 수입은 대한해운의 총 차입금을 25.8% 줄일 수 있는 규모”라고 평가했다.

몇몇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이 이자 부담이 급증하고 경영환경이 악화하자 현금 확보 전쟁에 나섰다. 한국은행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보유 지분·부동산·자회사를 포함해 돈이 되는 것은 무엇이든 팔아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LG 등 두둑한 현금으로 M&A 속도 낸다

2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0대그룹의 2분기 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 총합은 353조2636억 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346조8319억 원)과 비교해 반년 만에 6조4317억 원 증가한 것이다.

상반기 현금성 자산 1위는 매출 1위 삼성전자로, 100조7658억 원을 보유했다. 삼성전자의 현금 보유액은 2021년 말 120조 원 이상을 찍다가 지난해 말 91조7718억 원까지 쪼그라들었다. 그러나 이번에 다시 100조 원대를 회복했다. 그 다음으로는 SK(26조3536억 원)와 현대자동차(25조1895억 원)가 뒤를 이으며 재계 1~3위 메인 기업들의 총 152조3088억 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했다. 이어 포스코홀딩스(17조9960억 원), 기아(16조9464억 원), SK이노베이션(13조5159억 원), LG전자(8조6001억 원), SK하이닉스(8조5247억 원) 순이었다.

이들은 든든한 실탄으로 미래 먹거리를 찾는다. 지난달 블룸버그는 삼성전자가 핀란드의 통신 장비 업체 노키아의 모바일 네트워크 자산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올 초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인수합병(M&A)에 적극적으로 나설 뜻을 비친 만큼, 이번 거래 성사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앞서 수년간 대형 M&A 의사를 밝혀 왔으나 2017년 하만 이수 이래 빅딜은 이루지 못하고 있다.

LG전자는 7월 네덜란드 스마트홈 플랫폼 앳홈의 지분 80%를 인수하고, 향후 3년 내에 나머지 지분 20%를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 이번 앳홈 M&A의 의미는 LG전자가 차세대 인공지능(AI) 플랫폼으로 인식되는 스마트홈 시장에서 개방형 생태계를 통한 확장성을 키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게 KB증권의 분석이다.

현대차는 2026년 M&A 등 전략투자에 1조6000억 원을 책정했다. 2021년 보스턴다이내믹스·에어플러그, 2022년 포티투닷 인수에 나선 현대차는 소프트웨어중심차(SDV) 중심으로 로봇·자율주행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한샘 등 현금 확보 비상

지난달 19일 판교 삼양디스커버리센터. 이곳에선 김윤 삼양그룹 회장이 직원에게 상반기 성과와 하반기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특히 올해는 창립 100주년을 맞은 해라 더 특별했다. 김 회장은 “최근 나타나고 있는 국내외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현금 유동성 확보는 기업의 생존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캐시플로우’(현금흐름) 중심 경영을 3대 경영 방침 중 하나로 제시했다.

현금 유동성 확보에 온 힘을 쏟는 기업이 늘고 있다. 삼양그룹처럼 ‘유비무환’하는 곳과 생존이 급한 기업이 공존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국내 기업들의 ‘주요사항보고서(유형자산양도결정)’ 공시 건수(8월 31일 기준)는 5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2건 대비 66%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건수 48건 대비로도 10% 증가한 규모다. 올해 남은 4개월을 감안하면 상장사들의 유형자산 처분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샘은 지난달 30일 서울 상암사옥을 3200억 원에 그래비티자산운용사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회사 측은 “전사 자산의 효율적 이용이 목적이라며 현금 유동성 확보로 재무건전성이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HJ중공업도 차입금 상환 및 유동성 확보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4025억 원 규모의 동서울터미널을 신세계동서울피에프브이에 양도하기로 했다. 락앤락은 현금 유동성 추가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850억 원 규모의 안성공장 토지와 건물을 양도하기로 했다. 영화, 드라마, 매니지먼트 사업 등을 영위하는 코스피 기업 아센디오는 자산매각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170억 원 규모의 남양주시 일대 토지 및 건물을 처분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엔플러스는 현금 유동성 확보를 통한 신규사업부문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충북 진천군 일대 토지와 건물을 250억 원 규모에 양도하기로 했다. 이 회사는 소방용 기계, 기구 등의 제조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최근 신소재와 이차전지용 전극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불확실성에 적절한 대응 체제를 구축해 시의적절하게 대처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 기조 변화, 국내 물가 및 가계부채 문제 등을 충분히 고려해 신중한 운영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나, 경기 하방 압력에도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대차에 대한 경고가 대표적이다.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현대차 지분 55%인 20조 원 규모 삼성동 부지와 KT 지분 5%, 그리고 현대건설 지분 21% 등을 자동차 모빌리티와 무관한 현대차의 유휴자산으로 꼽았다. 이 회장은“현대차의 발표대로라면 10년간 투자금 121조 원이 필요한데 조달 어려움으로 뒤늦게 헐값에 자산을 매각할 수도 있다”며 “그보다는 선제적으로 강남의 상업용 빌딩과 타회사 지분을 정리해서 현금을 확보하고 주가순자산비율(PBR) 1대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어둠의 코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으로 향하는 매직넘버는? [해시태그]
  • 경영권 분쟁에 신난 투자자들…언제까지 웃을 수 있을까
  • Z세대의 말하기 문화, 사회적 유산일까 문제일까②[Z탐사대]
  • 와신상담 노리는 삼성…퀄컴, 스냅드래곤8 4세대 생산 누구에게?
  • 고려아연-영풍, 치닫는 갈등…이번엔 '이사회 기능' 놓고 여론전
  • “비싼 곳만 더 비싸졌다”…서울 아파트값, 도봉 7만 원 오를 때 서초 1.6억 급등
  • ‘당국 약발 먹혔나’ 9월 가계 빚 '주춤'… 10월 금리인하 가능성↑
  • 오늘의 상승종목

  • 09.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868,000
    • -0.61%
    • 이더리움
    • 3,447,000
    • +0.64%
    • 비트코인 캐시
    • 452,000
    • -1.05%
    • 리플
    • 790
    • +0.77%
    • 솔라나
    • 193,000
    • -2.13%
    • 에이다
    • 472
    • -0.63%
    • 이오스
    • 687
    • -2.14%
    • 트론
    • 203
    • -0.49%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00
    • -2.8%
    • 체인링크
    • 14,970
    • -1.45%
    • 샌드박스
    • 370
    • -1.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