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격인 교정정보빅데이터팀 신설해 1년 동안 한시 운영
이 같은 교정시설 수감자의 일탈로 인한 사고를 막기 위해 법무부가 수용자 상담내용, 동정 관찰, 진료현황 등 이미지나 텍스트로 이뤄진 ‘비정형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에 나선다. 교정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여러 패턴을 분석해 사전 예방한다는 취지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는 전날 ‘교정행정 비정형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담당 부서는 교정정보빅데이터팀이다.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연구·활용하자는 법무부의 기조에 따라 지난달 출범한 이 팀은 자율기구로써 일종의 ‘태스크포스’(TF)다. 최장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한 뒤 정식 직제화가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연구용역의 추진과제는 큰틀에서 △교정행정의 비정형데이터 필요성 및 활용방안 △비정형데이터 수집·분석체계 연구 △타부처·기관 등 정보연계 방식 조사 △수용자에 대한 입체적 통계 분석 및 결과 도출 등이다.
비정형데이터란 정의된 형태가 없는 데이터를 말한다. 주민등록번호 등이 정형화된 데이터라면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이 대표적인 비정형데이터다. 구조가 복잡해 정형 데이터보다 분석이 까다롭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교정시설이 보유한 비정형데이터는 상담(예방·고충처리·생활지도·교화·정기·신입·초기·외부전문가 기타 등), 동정 관찰, 특이 동정사항, 접견·전화통화 내용, 진료현황, 분류심사(조사·검사), 메모, 시찰 등이다.
또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처리하고 의미 있는 내용을 추출하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에 관한 연구, 비정형데이터를 표준화할 수 있는 분석체계 연구 등도 이뤄진다.
법무부는 용역을 통해 비정형데이터의 종류와 발전방향을 우선 조사하고, 사고 전 특이행동 등 수용자 관리와 관련한 비정형데이터를 연구할 계획이다.
법무부는 이 같은 연구가 수용자의 자살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법무부는 우울증이 있는 수용자를 대상으로 특화 심리 치료 프로그램을 도입해 관리하고, 시설 내 CCTV 및 화장실 안전 방충망 설치 같은 시설 개선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 중이다.
하지만 교정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교정시설에서 발생한 자살사고는 9건, 미수사건은 84건으로 집계됐다. 2021년 자살 10건, 자살 미수 132건이었고 2022년에는 각각 8건·102건이었다. 전체 비율로 보면 교정시설 사고율이 높다고 할 순 없지만, 큰폭으로 줄지도 않는 만큼 사전 예방이 더욱 중요한 셈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이 같은 도주·자살 등 교정사고 패턴을 분석해 사전에 예방하고, 성도착증·마약류 수용자 같은 특이수용자를 관리하는 데 있다. 아울러 법무부는 형기·죄명·연령을 고려한 교정프로그램도 개발해 적용할 예정이다.